[로이슈 편도욱 기자]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락앤락(대표 김성훈)이 중국의 최대 쇼핑 축제인 광군제(光棍節)에서 매출 4926만 위안(한화 약 81억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위안화 기준 13.9% 성장했다. 이로써 코로나19로 급변하는 시장상황에서도 6년 연속 매출 성장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락앤락은 중화권 대표 모델인 중국의 인기 배우 덩룬(邓伦)과 함께 티몰 직영몰인 기함점을 중심으로 각종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광군제 기간동안 티몰 기함점에는 519만명 이상이 방문하여 성황을 이뤘다. 락앤락 밀폐용기는 티몰 밀폐용기 카테고리 내 부동의 1위를 유지했으며, 신제품 텀블러 및 물병류 판매 호조에 힘입어 기함점 총 매출은 전년 대비 12.2% 상승했다.
품목별 매출로는 텀블러·보온병 카테고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커피를 즐기는 젊은 소비층을 위한 ‘메트로 에너제틱 원터치 텀블러’, 차(茶) 문화를 반영한 ‘인조이 티 텀블러’, ‘플래닛 원터치 텀블러’ 등을 선보여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2020년 하반기 주력 텀블러인 ‘메트로 에너제틱 원터치 텀블러’는 원터치 버튼이 있어 한손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밀폐 기능이 뛰어나 사무실, 가정 등 실내에서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유용하다. 광군제 기간 내 티몰 기함점에서 진행된 라이브 커머스에서도 6만개가 판매되며, 당일 티몰 텀블러 단품 판매량 1위에 올랐다.
‘인조이 티 텀블러’는 차(茶) 문화권의 중국시장을 타겟으로 개발되었다. 텀블러 상단에 티 스토리지가 있어 찻잎을 보관할 수 있고 물과 찻잎을 분리시켜 오랜 시간 찻잎이 침수되어 있을 때 쓴 맛이 우러나오는 것을 방지해 준다. ‘플래닛 원터치 텀블러’는 중국의 새로운 소비층으로 떠오르는 Z세대를 겨냥하여 출시되었으며 Z세대가 즐겨 찾는 동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주목 받았다.
이어서 밀폐용기 카테고리가 매출을 견인했다. 내열 유리 소재로 전자레인지 사용에 적합한 ‘디바이더 글라스’와 두 가지 음식을 구분해 담기 좋은 ‘투웨이 용기’ 등이 1인 가구 증가 및 도시락 문화 속에 각광받았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락앤락, 2020 중국 광군제서 4,926만 위안 매출 달성
기사입력:2020-11-12 11:14:3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9.47 | ▲5.19 |
코스닥 | 778.46 | ▲2.66 |
코스피200 | 413.02 | ▲0.2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097,000 | ▼92,000 |
비트코인캐시 | 676,500 | ▲500 |
이더리움 | 3,495,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00 | ▼30 |
리플 | 3,107 | ▼14 |
퀀텀 | 2,70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81,000 | ▼16,000 |
이더리움 | 3,496,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10 | 0 |
메탈 | 929 | ▲1 |
리스크 | 518 | ▼2 |
리플 | 3,109 | ▼12 |
에이다 | 800 | ▲1 |
스팀 | 17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3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677,500 | ▲2,500 |
이더리움 | 3,496,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70 | ▲60 |
리플 | 3,111 | ▼13 |
퀀텀 | 2,721 | 0 |
이오타 | 21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