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2019년 3분기 사이버 공격 동향’ 발표

기사입력:2019-10-24 17:29:13
사진=안랩

사진=안랩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안랩이 ‘2019년 3분기 사이버 공격 동향’을 24일 발표했다.

안랩에 따르면 이번 ‘2019년 3분기 사이버 공격 동향’은 올 3분기 ‘안랩 보안관제서비스’에서 탐지 및 차단, 대응한 총 110만여건의 공격 시도를 분석한 것이다.

올해 3분기 공격의 유형별 분류에서는 ‘웹기반 공격’이 4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31%)’, ‘취약점 탐지 공격(7%)’이 뒤를 이었다.

‘웹기반 공격’은 공격자가 기업의 웹사이트 등을 노려 ‘웹 취약점 공격’, ‘SQL 인젝션 공격(*)’, ‘악성파일 게시판 업로드’ 등을 전개하는 공격방식이다. 이와 함께 조직 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노리는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공격’과 취약점 탐지 툴을 이용해 시스템에서 찾은 취약점을 이용하는 ‘취약점 탐지 공격’도 공격자들이 자주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 보안담당자는 주요 서비스가 이뤄지고 외부 접근이 용이한 웹기반 서비스나 웹사이트 등 ‘웹기반 자산’과 다양한 취약점에 대해 철저한 보안 관리를 해야한다.

특이사항으로 9월의 공격 유형별 통계에서는 보안장비에 대한 ‘설정 오류’를 노린 공격(1.6%)이 처음으로 10위에 진입하기도 했다. ‘설정 오류’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취약점이 아니라 보안담당자의 실수(휴먼 에러)를 노린 공격으로,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가의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산업군별 분류에서는 공격 대상의 비중 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 대상이 된 산업군별 비율로는 ‘미디어’ 분야에 대한 공격이 전체의 16%로 가장 높았고, ‘유통(10%)’, ‘법률/세무(9%)’, ‘게임(8%)’, ‘닷컴(IT)(8%)’, ‘보험(8%)‘, ‘공공(8%)’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격자가 특정 산업군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업과 산업군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보안위협을 전개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 보안담당자는 언제든 내가 속한 조직이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하고 핵심자산과 보안수준을 파악해 보안조치를 지속해야 한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안랩 서비스사업부를 총괄하는 임영선 상무는 “통계를 보면 공격자는 산업군을 가리지 않고 웹,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취약점을 노려 공격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따라서 기업 보안담당자는 독자적 혹은 보안서비스 전문업체와 협력해 상시적으로 보안조치를 실행·점검하고 임직원 보안교육을 진행하는 등 ‘보안위협 대응의 일상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33,000 ▼437,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15,000
이더리움 2,62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420 ▼150
리플 3,146 ▼13
이오스 1,025 ▼6
퀀텀 3,147 ▼1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15,000 ▼524,000
이더리움 2,62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450 ▼150
메탈 1,184 ▼19
리스크 785 ▼16
리플 3,149 ▼7
에이다 993 ▼6
스팀 216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30,000 ▼420,000
비트코인캐시 532,000 ▼15,500
이더리움 2,62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430 ▼170
리플 3,148 ▼10
퀀텀 3,160 0
이오타 30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