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인공지능 기반 부분 자율주행차 양산

기사입력:2019-10-21 18:37:59
SCC-ML 구현 모습.(사진=현대자동차)

SCC-ML 구현 모습.(사진=현대자동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운전자의 주행성향에 맞는 부분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기술인 SCC-ML(머신러닝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은 앞차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해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로 자율주행을 해주는 기능으로, ADAS(첨단 운전자보조 시스템)의 주요 기술 중 하나다.

SCC-ML은 인공지능 기술을 더해, 운전자의 주행성향을 차가 스스로 학습해 SCC 작동 시 운전자와 거의 흡사한 패턴으로 자율주행을 해준다.

이번에 현대·기아차가 독자 개발한 SCC-ML의 원리를 살펴보면 우선 전방카메라, 레이더 등의 센서가 다양한 운전상황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ADAS의 두뇌격인 제어컴퓨터로 보낸다. 제어컴퓨터는 입력된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주행습관을 추출해 종합적인 주행성향을 파악한다. 이때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주행성향은 크게 보면 앞차와의 거리, 가속성(얼마나 신속하게 가속하는지), 반응성(주행환경에 얼마나 민첩하게 반응하는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거기에 더해 다양한 속도와 주변 차량과의 거리 조건을 모두 고려했다.

SCC-ML은 자동 차로 변경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HDA II와 함께 적용돼 자율주행 레벨 2을 넘어선 레벨 2.5 수준을 구현한다. 현대차·기아차는 이 같은 기능을 향후 신차에 선별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기아차 자율주행개발센터 관계자는 “SCC-ML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존 SCC의 사용성을 대폭 개선했다”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인공지능 분야에서 업계 선두권의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4.46 ▲19.51
코스닥 789.29 ▲5.05
코스피200 422.40 ▲1.1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61,000 ▲48,000
비트코인캐시 693,500 ▲500
이더리움 3,582,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3,190 ▲140
리플 3,173 ▲24
퀀텀 2,747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301,000 ▲71,000
이더리움 3,585,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3,150 ▲110
메탈 949 ▲3
리스크 536 ▲4
리플 3,171 ▲22
에이다 810 ▲8
스팀 18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34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696,000 ▲3,000
이더리움 3,586,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23,220 ▲130
리플 3,176 ▲24
퀀텀 2,731 0
이오타 219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