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주현 기자] 최근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휴식∙놀이 시간을 늘려 초등 저학년(1~4학년)의 하교 시간을 오후 3시로 늦추는 방안이 발표된 가운데, 학부모 10명 중 6명 이상은 이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지난 10월 5일부터 9일까지 초등학교 4학년 이하 자녀를 둔 학부모 6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7.0%가 초등 저학년의 하교 시간을 오후 3시로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소득형태에 따른 선호도는 맞벌이 부모(72.4%)가 외벌이 부모(62.2%)보다 10%P가량 높았다.
긍정적인 이유(복수응답)로는 ‘맞벌이 가정의 아이 돌봄 공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서’(54.2%)’가 가장 많았다. ‘학원 뺑뺑이 보다는 안전한 학교에 있는 것이 안심이 되어서’(46.1%), ‘사교육, 양육 도우미 등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할 것 같아서’(38.7%)가 그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사교육 이용이 줄어들면서 공교육이 강화될 것 같아서’(17.3%), ‘휴식 시간이 늘어나면 아이들 수업 집중에 좋을 것 같아서’(10.2%) 등이 있었다.
소득형태별로 살펴보면, 맞벌이 가정의 경우 ‘맞벌이 가정의 아이 돌봄 공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서’(75.8%)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외벌이 가정은 ‘학원뺑뺑이 보다는 안전한 학교에 있는 것이 안심이 되어서’(50.5%)가 주를 이뤘다.
반면, 부정적인 이유(복수응답)는 ‘아이의 귀가시간이 늦춰지면서 체력저하, 피로감만 가중시킬 것 같아서’(49.8%)를 1위로 꼽았다. 이어 ‘단순 휴식, 놀이 시간으로 채워져 아이가 무의미한 시간을 보낼 것 같아서’(47.8%), ‘일괄적인 강제 적용 보다는 기존제도(방과후 수업이나 돌봄교실 등)를 강화하는 편이 더 나을 것 같아서’(35.3%) 순이었다. 이외에도 입시제도가 그대로인 한 사교육 부담이 줄어들 것 같지 않아서’(25.1%), ‘학교가 교육기관이 아닌 보육기관으로 전락하는 것 같아서’(12.6%) 등이 있었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해당 정책이 시행될 경우 자녀의 사교육 지출을 줄일 계획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69.9%가 ‘있다’고 답했다.
초등 저학년 3시 하교 정책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끼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46.0%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보통’은 25.2%, ‘도움 되지 않을 것은’ 28.8% 이었다.
한편, 외벌이 가정 331명을 대상으로, ‘해당 정책이 시행될 경우, 현재 사회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부모가 사회활동을 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절반이 넘는 61.0%가 ‘있다’고 응답했다.
김주현 기자 law2@lawissue.co.kr
학부모 67%, ‘초등 저학년 3시 하교’에 ‘긍정적’ 반응
기사입력:2018-10-15 09:58:5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9.47 | ▲5.19 |
코스닥 | 778.46 | ▲2.66 |
코스피200 | 413.02 | ▲0.2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490,000 | ▲66,000 |
비트코인캐시 | 675,000 | ▲1,500 |
이더리움 | 3,513,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00 | ▼20 |
리플 | 3,098 | ▲7 |
퀀텀 | 2,723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42,000 | ▲2,000 |
이더리움 | 3,510,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700 | ▼10 |
메탈 | 931 | ▲1 |
리스크 | 522 | ▲2 |
리플 | 3,095 | ▲4 |
에이다 | 800 | ▼1 |
스팀 | 17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470,000 | ▼10,000 |
비트코인캐시 | 674,000 | ▲1,000 |
이더리움 | 3,512,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90 | ▼40 |
리플 | 3,099 | ▲4 |
퀀텀 | 2,723 | 0 |
이오타 | 22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