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외래관광객들의 방한 만족도는 매우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강옥희)가 최근 발표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올림픽 기간 중 평창 동계올림픽 참관 외국인관광객의 방한 만족도는 96.1%를 나타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올림픽이 열린 ‘18년 2월과 3월에 한국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은 각각 1,045,415명, 1,366,100명으로 집계되었다. 이 중 동계올림픽 특수로 구미주 관광객이 2월에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한 194,709명, 3월 3.5% 증가한 226,845명이 입국하는 등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 올림픽 관광객과 올림픽 관계자는 2월 방한 외래객의 27.1%(각각 15.0%, 12.1%)에 달하는 약 28만 명으로 추정됐다. 이 중 올림픽 관광객은 ‘일본’(38.7%), ‘미국/캐나다’(22.9%), ‘중국’(13.7%), ‘유럽’(10.6%), ‘러시아’(5.7%)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그리고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반 이상(51.3%)으로, 특히 미국/캐나다(71.4%) 및 유럽(68.3%) 관광객의 응답 비중이 높았다.
이들 올림픽 관광객들은 주로 ‘개별여행’(73.4%) 형태로 방한해, 개최지인 ‘강원’ 이외 ‘서울’(81.2%) 등지에서 ‘쇼핑’(88.9%)과 ‘식도락관광’(70.8%)을 즐겼다. 방한 기간 중 가장 좋았던 활동으로 전체 올림픽 관광객(67.3%) 및 관계자(45.2%) 모두 ‘쇼핑’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나, 일본관광객의 경우 ‘식도락 관광’에 대한 선호도가 쇼핑보다 높았고, 미주지역 관광객은 쇼핑 외 ‘고궁/역사 유적지 방문’ 및 ‘자연 경관 감상’ 선호도 또한 높은 차이점을 보였다.
올림픽 관광객의 평균 지출경비는 $2,026.7로 일반 관광객이 지출한 금액인 $1,497.6보다 $529.1 더 많았고, 주로 ‘거주국 및 한국 여행사 지출경비’($618.9), ‘올림픽 입장권 구매비용’($417.4), ‘숙박비’($415.8) 등에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림픽 관광객의 체류일이 6.5일인데 반해, 올림픽 관계자들의 체류일은 12.3일 가량 장기체류 하면서 ‘올림픽 관광객 및 관계자’ 전체 평균은 8.9일로, 일반 관광객 체류일인 6.9일보다 높게 나타났다.
올림픽 관광객의 방한 만족도는 96.1%로 매우 높았고, 방한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올림픽 개최 기여도’는 87.6%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만족 요인으로는 ‘치안’(91.1%) 및 ‘모바일/인터넷 이용편의’(85.7%)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언어소통’(53.5%) 및 ‘길 찾기’(62.9%)는 주요 불만족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조사는 모집단 설정 및 결과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공항 출구조사와 1:1 대면 면접조사를 병행해 실시했다.
한국관광공사는 1988년 서울하계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개최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 특수로 관광 목적지로서 한국 및 강원도의 인지도가 급상승한 가운데, 올림픽 참관자 다수가 미주 및 유럽인으로 채워지는 등 방한시장 다변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들의 재방문을 도모할 수 있는 올림픽 후속 마케팅‧홍보 활동에 주력할 방침이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한국관광공사,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사입력:2018-04-26 01:46:5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498,000 | ▼759,000 |
비트코인캐시 | 834,000 | ▼4,000 |
이더리움 | 6,413,000 | ▼3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410 | ▼330 |
리플 | 4,216 | ▼35 |
퀀텀 | 3,489 | ▼4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254,000 | ▼854,000 |
이더리움 | 6,403,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80 | ▼320 |
메탈 | 1,036 | ▼5 |
리스크 | 525 | ▼4 |
리플 | 4,212 | ▼37 |
에이다 | 1,234 | ▼12 |
스팀 | 186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300,000 | ▼900,000 |
비트코인캐시 | 834,000 | ▼5,500 |
이더리움 | 6,410,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370 | ▼310 |
리플 | 4,215 | ▼32 |
퀀텀 | 3,502 | ▼41 |
이오타 | 268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