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몽골 400호점 오픈

기사입력:2024-07-25 17:52:14
[로이슈 편도욱 기자] CU가 지난 2018년 8월 몽골에 진출한 이후 약 6년 만에 400호점 오픈과 함께 국내 편의점 업계 최초로 해외 사업국 흑자를 달성했다.

25일 CU에 따르면, 몽골의 파트너사인 프리미엄 넥서스(구. 센트럴 익스프레스)사는 이달 1일 올해 상반기 실적이 매출액 2,861억 투그릭(1,173억 원), 경상이익 96억 투그릭(39.3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CU 관계자는 "국내 편의점 업계가 2018년부터 해외 진출을 시작한 이후 사업국에서 흑자 전환을 한 것은 CU가 처음이다"라며 "한국에서 1990년에 1호점의 문을 연 이후 1996년 360여 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을 봤을 때 몽골도 비슷한 속도로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라고 전했다.

편의점 사업은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어 가지만 점포수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매출과 이익이 늘어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함에 따라 점당 고정 비용이 줄어들면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해진다.

CU는 2018년 몽골 프리미엄 넥서스와 마스터 프랜차이즈(Master Franchise, 본사가 현지 기업에 브랜드 사용 권한 및 사업 운영권 등을 부여하고 로열티를 수취하는 방식)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편의점 업계 최초로 몽골 시장에 진출했다.

CU의 몽골 점포수는 2018년 21점, 2019년 56점, 2020년 103점, 2021년 163점, 2022년 285점, 2023년 380점으로 꾸준히 증가했고 울란바토르 외 몽골 제 2도시인 다르항을 포함한 11개 지역으로 출점을 적극 확대하며 이달 400호점까지 늘어났다.

코로나와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몽골 CU의 연평균 매출액은 12.0%씩 증가했고 프리미엄 넥서스는 2021년 몽골 증권거래소에 상장을 시도해 몽골 IPO 역사상 최대 청약 인원(1만 여명)과 공모 금액(401억 투그릭)을 기록하며 현재 시총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려두고 있다.

몽골에서 이렇게 업계 최초로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배경은 CU가 프랜차이저로서 현지 사업의 외형 확장과 질적 성장을 동시에 추구한 투트랙 전략이 주효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CU는 초창기부터 국내 전문 인력을 파견해 파트너사에 운영 노하우를 전수하고 사업 인프라 구축에 대한 컨설팅을 꾸준히 진행했다. 또한,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 사업 추진을 위해 운용 자금을 대여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CU가 지난해 11월 업계 최초로 글로벌 500호점을 돌파하며 현지에서 연간 1억 명의 고객이 방문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몽골 외에도 7월 현재 기준 말레이시아 145점, 카자흐스탄 7점의 해외 점포수를 보유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9.47 ▲5.19
코스닥 778.46 ▲2.66
코스피200 413.02 ▲0.28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39,000 ▲111,000
비트코인캐시 671,500 ▲500
이더리움 3,47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2,620 ▲40
리플 3,137 ▼21
퀀텀 2,70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78,000 ▲148,000
이더리움 3,47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2,600 ▲20
메탈 926 ▲0
리스크 518 ▼0
리플 3,139 ▼19
에이다 795 ▲1
스팀 17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9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672,000 ▲3,000
이더리움 3,479,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590 ▼10
리플 3,139 ▼18
퀀텀 2,686 ▼5
이오타 21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