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주택 공급의 선행지수라 할 수 있는 인허가, 착공, 분양 지표들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5월 누계 기준 주택인허가 실적은 15만753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20만9058가구) 24.7% 감소했다. 인허가 실적과 관련해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6만58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7.3% 감소했으며 지방도 9만6953가구로 같은 기간 28.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착공 실적 역시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월 누계 기준 전국 주택 착공은 7만767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14만9019가구) 무려 47.9%가 줄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5월 누계 기준 전국 아파트는 5만8603가구, 아파트 외 주택은 1만906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6.4%, 51.9%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분양물량도 절반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월 누계 기준 전국 공동주택 분양은 4만667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9만6252가구) 51.5% 감소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공동주택 일반분양은 3만4007가구, 임대주택 3092가구, 조합원분은 9571가구로 확인됐다.
이처럼 올해 인허가 착공물량이 줄어들면서 향후 2~3년 뒤에 공급물량이 부족하지 않을지 시장에서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인허가부터 착공 이후 입주까지 보통 3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향후 주택 공급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토지매입부터 분양 및 입주까지 5년에서 최대 7년정도 걸리는 걸 감안했을 때 올해 인허가와 착공지표가 두 자릿수 이상 감소한 영향으로 앞으로 2~3년 뒤에 신규로 공급되는 물량이 이전에 비해 귀해질 수 있다”며 “인허가와 착공 이외에도 지난해부터 공사비가 가파르게 오르며 공사비를 맞추기 위한 협상이 차질을 빚어 분양일정이 밀리는 등 향후 물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요건도 충분한 만큼 최근 분양을 하거나 이제 곧 새롭게 선보일 단지들의 가치가 재평가를 받을 수 있고 새 아파트 프리미엄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3분기 분양시장에 신규로 공급되는 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전망이다.
제일건설㈜은 8월 인천 계양구 효성동에 ‘제일풍경채 계양 위너스카이’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59~84㎡ 총 1440가구(A블록 아파트 777가구 오피스텔 97실, B블록 아파트 566가구) 대단지로 조성된다. 특히 전 가구가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5㎡이하 중소형 평형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최고 35층의 초고층 단지로 조성되며 주변에 막힌 곳 없이 개방감 넘치는 탁 트인 조망까지 가능할 전망이다.
우미건설은 8월 광주광역시 북구 동림동에서 운암산 근린공원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통해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를 분양한다. 지하 6층~지상 최고 29층, 6개동, 전용면적 84·94·101㎡, 총 734가구 규모다.
DL이앤씨는 9월 서울 강동구 천호동 천호3구역 재건축사업을 통해 ‘e편한세상 강동 프레스티지원’을 선보인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5층, 8개동, 전용면적 44~115㎡, 총 535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44~84㎡ 263가구가 일반분양분이다.
한양은 전라북도 전주시 에코시티에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을 분양 중이다. 지하 4층~지상 최고 48층, 2개동, 전용면적 84㎡A·B·C타입 268가구(오피스텔 126실 별도, 추후 분양 예정)의 전주 최고층 단지로 조성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인허가·착공·분양 뚝”…2~3년 뒤 공급부족 현실화 우려
올해 1~5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 전년 동기 대비 24.6% 감소착공실적 동기간 7만7671가구로 47.9%…인허가보다 더 크게 줄어 기사입력:2023-07-28 11:15:5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830,000 | ▲745,000 |
비트코인캐시 | 676,000 | ▼500 |
이더리움 | 3,530,000 | ▲5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90 | ▲170 |
리플 | 3,098 | ▲6 |
퀀텀 | 2,721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99,000 | ▲608,000 |
이더리움 | 3,527,000 | ▲5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880 | ▲190 |
메탈 | 930 | ▲7 |
리스크 | 523 | ▲4 |
리플 | 3,099 | ▲10 |
에이다 | 804 | ▲8 |
스팀 | 176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780,000 | ▲670,000 |
비트코인캐시 | 677,500 | ▲1,500 |
이더리움 | 3,531,000 | ▲5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910 | ▲260 |
리플 | 3,098 | ▲6 |
퀀텀 | 2,677 | 0 |
이오타 | 219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