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하나은행(은행장 박성호)은 글로벌 자금세탁방지업무 규제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국외 자금세탁방지(Anti Money Laundering)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국외 AML 시스템)』 고도화를 마쳤다고 밝혔다.
전 세계 가장 많은 24개 국가에 진출해 있는 하나은행은 강화된 글로벌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외점포의 자금세탁방지 및 컴플라이언스 업무를 개선키 위해 지난해 1월 시스템 고도화 작업에 착수한 바 있다.
이번 차세대 『국외 AML 시스템』 고도화 작업을 통해 ▲자금세탁 유형론을 활용한 시나리오 확장으로 강화된 모니터링 체계 확보 ▲ECM(Enterprise Case Management: 다차원 분석)도입을 통한 국외점포 의심거래 점검 체계 효율화 ▲고도화된 자동 보고서 작성 지원 등 레그테크(Reg-Tech: 규제와 기술의 합성어) 기반의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했다.
또한, ▲플랫폼 업무 범위 확장 및 AI 및 머신러닝 기능 추가 ▲테스트 시스템 도입에 의한 사전점검 환경 구축 등으로 현지 글로벌 감독기관의 자금세탁방지 요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하나은행은 2008년 은행권 최초로 글로벌 은행 수준의 『국외 AML 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2012년과 2017년 두 차례의 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통해 은행권 최고 수준의 모니터링 체제를 운영 중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번 차세대 『국외 AML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현지 금융 당국 기준에 부합하는 시스템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됐다”며, “고도화된 내부통제체계를 바탕으로 국제금융시장의 강화된 자금세탁방지 기준과 제재에 대비해 글로벌 선도은행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하나은행, 차세대 국외 자금세탁방지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완료
기사입력:2022-04-01 15:31:0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53.52 | ▼151.33 |
| 코스닥 | 863.56 | ▼28.38 |
| 코스피200 | 540.66 | ▼23.5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8,051,000 | ▼555,000 |
| 비트코인캐시 | 716,000 | ▼1,000 |
| 이더리움 | 4,180,000 | ▼31,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100 | ▼100 |
| 리플 | 2,950 | ▼13 |
| 퀀텀 | 2,378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8,074,000 | ▼594,000 |
| 이더리움 | 4,182,000 | ▼3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120 | ▼100 |
| 메탈 | 615 | ▼2 |
| 리스크 | 280 | ▼4 |
| 리플 | 2,949 | ▼15 |
| 에이다 | 633 | ▼3 |
| 스팀 | 110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28,000,000 | ▼590,000 |
| 비트코인캐시 | 716,000 | ▼1,000 |
| 이더리움 | 4,178,000 | ▼3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0,100 | ▼110 |
| 리플 | 2,948 | ▼17 |
| 퀀텀 | 2,375 | ▲14 |
| 이오타 | 172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