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순당 ‘예담’, 종묘대제에 16년째 제주로 사용

기사입력:2021-05-03 17:09:05
[로이슈 편도욱 기자] 국순당은 5월 2일 서울 종로구 종묘에서 진행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인 ‘종묘대제’에서 차례∙제례주 ‘예담’이 제향 의식의 종헌례 제주로 사용됐다고 밝혔다. 차례주 ‘예담’은 2006년부터 16년째 종묘대제 제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묘대제는 매년 5월 첫 번째 일요일에 열리며 조선의 국가 사당이며 세계유산인 종묘에서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의식이다. 제향 의식뿐 아니라 제례악과 일무 등 조화된 종묘대제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문 종합적인 의례이다.

올해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관중 없이 비공개로 봉행 됐다.

우리나라에는 차례나 제례에 쓰이는 제주(祭酒)를 각 가정에서 예법에 맞게 직접 담가 조상님께 올리는 전통이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의 주세 정책으로 집에서 술을 빚는 가양주를 금지하고, 1960년대 양곡보호정책으로 우리 술 제조에 쌀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일본식 청주가 전통 제주의 자리를 대신하게 됐다. 지금도 일본의 청주 브랜드인 ‘정종(正宗:마사무네)’을 우리 전통 차례주로 오인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국순당 ‘예담’ 차례주는 우리나라 최초의 차례∙제례 전용주이다. 주정을 섞어 빚는 일본식 청주와는 달리 전통 예법에 맞게 국내산 쌀 100%로 빚은 순수 발효 약주이다. 주세법상 ‘약주’는 우리 전통방식의 맑은 술을 일컫는다. 일제강점기 주세법에 일본식 청주 등이 ‘청주’로 분류되고 우리 술은 맑은 술을 뜻하는 ‘청주’라는 고유의 이름을 빼앗기고 ‘약주’로 분류됐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16.27 ▲41.21
코스닥 793.33 ▲11.16
코스피200 420.94 ▲6.5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300,000 ▲171,000
비트코인캐시 675,500 ▲1,000
이더리움 3,51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180 ▼60
리플 3,090 ▲5
퀀텀 2,78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383,000 ▲229,000
이더리움 3,522,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3,180 ▼40
메탈 940 ▲3
리스크 532 ▲5
리플 3,089 ▲1
에이다 812 ▲4
스팀 17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9,380,000 ▲190,000
비트코인캐시 674,000 ▲3,500
이더리움 3,520,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190 ▲10
리플 3,093 ▲5
퀀텀 2,760 0
이오타 22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