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한국P&G는 선도적인 사내 지원 정책을 통해 성별, 나이, 국적을 불문하고 모든 임직원이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평등하고 포용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또한 외부 협력사와 대중을 대상으로도 다양한 성평등 캠페인을 펼치며 사회 전반에 평등의 물결을 확산해오고 있다.
한국P&G, 일과 가정의 건강한 양립을 위한 선진적 인사 제도 운영
한국P&G는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사회를 구성하는 핵심 단위인 가정 내 성평등 확립이 선결 과제임을 일찍이 인지하고, 임직원들이 각자의 삶 속에서 성평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적극 시행해오고 있다. 코로나19 이전부터 유연근무제를 운영했으며 성별에 무관한 철저한 성과 위주의 평가 및 승진 제도를 통해 여성 임원 및 관리자 비율 50:50을 5년 넘게 유지해오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새로운 출산 및 육아 휴가 정책인 ‘돌봄을 나누세요(Share The Care)’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2월 세계 여성의 날에 앞서 열린 ‘제 3회 아시아태평양•중동•아프리카 지역 #WeSeeEqual 성평등 포럼’에서 선포된 새로운 글로벌 프로그램으로, 자녀 출생 후 부모와의 유대관계, 정서, 인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첫 몇 개월을 아버지로서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육아는 부모 공동의 책임이며 남성들도 육아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을 이끌어내고자 기획됐다. 해당 정책을 통해 앞으로 산모를 위한 기존의 104일 출산 유급휴가와 더불어 파트너에게도 법정 휴일보다 4배 긴 8주간의 유급휴가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1인 가구, 쉐어하우스, 싱글맘, 싱글대디 등 가족 구성의 형태가 다양화되는 추세에 발맞춰 일-가정 양립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유연 근무를 넘어 ‘유연 휴가’ 제도를 도입한다. 개인 및 가정의 필요에 따라 임직원들이 연차 휴가 외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총 5일의 유급휴가를 주는 것으로, 혼인 및 혈연에 기반한 전통적인 가족 경조사에 초점이 맞춰진 특별 휴가 대신 자기 계발, 봉사활동, 가족과 애완동물 돌봄, 육아 휴직과 출산 휴가 연장 등 다양한 형태의 개인사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평등을 주제로 젊은 직원과 임원진이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상향식 사내 조직인 ‘차세대 리더 자문위원회(Gender Equality Young Leader Council)’도 출범할 계획이다. 직급, 세대, 성별과 관계없이 소통할 수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성평등 실현이 남녀 모두에게 이롭다는 인식을 조직 내에 더욱 확산시킬 예정이다. 특히 근무연수에 상관없이 각자의 입장에 대해 직접적이고 수평적인 의견 교환이 가능해, 보다 선진적인 사내 제도 및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차별 없는 사회를 위한 P&G의 노력은 조직 내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업계 전반과 사회에 성평등을 확산하기 위해 협력사, 소비자, 일반 대중 등 다양한 외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성평등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특히 광고와 미디어가 대중의 무의식에 미치는 위력을 이해하고, 대형 광고주로서 P&G가 가진 영향력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발휘하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기업사회활동] 한국P&G,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성평등 확산 위한 로드맵 제시
기사입력:2021-03-30 17:17:1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8.07 | ▼4.22 |
코스닥 | 820.67 | ▲2.40 |
코스피200 | 431.10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987,000 | ▲246,000 |
비트코인캐시 | 706,500 | ▲500 |
이더리움 | 4,907,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860 | ▼470 |
리플 | 4,743 | ▲24 |
퀀텀 | 3,320 | ▲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92,000 | ▲40,000 |
이더리움 | 4,910,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610 | ▼210 |
메탈 | 1,107 | ▼4 |
리스크 | 634 | ▼4 |
리플 | 4,744 | ▲26 |
에이다 | 1,137 | ▲7 |
스팀 | 20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950,000 | ▲240,000 |
비트코인캐시 | 707,000 | ▲1,000 |
이더리움 | 4,908,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34,360 | ▼110 |
리플 | 4,747 | ▲31 |
퀀텀 | 3,321 | ▼7 |
이오타 | 31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