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대법원 제2부(주심 대법관 김상환)은 2019년 1월 28일 피고인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뇌물) 등 사건에서 검사의 상고를 일부 받아들여, 특별사업비의 집행과 관련해 '국정원장은 회계직원책임법상 회계관계직원에 해당하지 않는다', '피고인이 2016년 9월경 前 국정원장 이병호로부터 수수한 특별사업비는 뇌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주위적 공소사실 중 2016년 9월 부분을 제외한 각 특정범죄가중법위반(국고등손실) 부분과 2016년 9월경 특정범죄가중법위반(뇌물) 부분을 각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서울고법)을 파기환송했다(대법원 2019. 1. 28. 선고 2019도176 판결).
원심이 무죄로 인정한, 특정범죄가중법 위반(국고등손실) 중 2016년 9월 부분, 2016년 9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각 특정범죄가중법 위반(뇌물) 부분에 대한 검사의 나머지 상고는 기각했다.
대법원은 특별사업비의 집행에 관해 국정원장은 회계직원책임법상 회계관계직원에 해당한다는 점을 최초로 명확히 판시했고, 횡령금의 내부적 분배에 해당하는 경우 뇌물죄가 성립할 수 없다는 법리를 구체적인 사안에 적용했다.
대법원은 "특별사업비의 집행과 관련하여 국정원장은 회계직원책임법상 회계관계직원에 해당하므로, 이와 다른 전제에서 주위적 공소사실 중 2016년 9월 부분을 제외한 각 특정범죄가중법 위반(국고등손실) 부분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은 파기돼야 하고, 이와 동일체 관계에 있는 유죄부분도 모두 파기되어야 한다. 결국 원심판결 중 유죄부분은 이유무죄 부분을 포함해 모두 파기되어야 한다. 또 피고인이 2016년 9월경 이병호로부터 특별사업비 2억 원을 수수한 것은 뇌물수수로 볼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을 무죄로 판단한 원심판결은 파기되어야 한다"고 했다.
피고인에게 교부된 국정원 자금 관련, 피고인이 회계관계직원인 前 국정원장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와 공모해 특별사업비를 횡령하고[특정범죄
가중법 위반(국고등손실)], 이를 뇌물로 수수했다.[특정범죄가중법 위반(뇌물)]
이원종에게 교부된 국정원 자금 관련, 피고인이 회계관계직원인 前 국정원장 이병호와 공모해 특별사업비를 횡령하고[특정범죄가중법 위반(국고
등손실)], 이원종과 공모하여 이를 뇌물로 수수했다.[특정범죄가중법 위반(뇌물)
1심은 징역 6년, 3억 원 추징, 특정범죄가중법 위반(국고등손실) 중 2016년 9월 부분과 각 특정범죄가중법 위반(뇌물) 무죄를 선고했다.
특별사업비의 집행과 관련해 국정원장은 회계직원책임법상 회계관계직원에 해당하고, 피고인이 前 국정원장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로부터 수수한 특별사업비는 뇌물에 해당하지 않는다(이병호로부터 2016년 9월경 수수한 2억 원 포함)고 판단했다.
원심은 유죄부분 및 무죄부분 중 특정범죄가중법 위반(국고등손실) 중 2016년 9월 부분 파기하고 징역 5년, 27억 원 추징, 특정범죄가중법 위반(국고등손실) 중 2016년 9월 부분 무죄, 1심 나머지 무죄부분과 검사 항소는 기각했다.
특별사업비의 집행과 관련해 국정원장은 회계직원책임법상 회계관계직원에 해당하지 않고, ➁피고인이 前 국정원장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로부터 수수한 특별사업비는 뇌물에 해당하지 않는다(이병호로부터 2016년 9월경 수수한 2억 원 포함)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2013년 5월부터 2016년 7월까지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로부터 특별사업비를 수수한 것을 뇌물수수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원심의 무죄 ‘결론’ 에는 잘못이 없다. 다만, 원심의 이유 설시와 달리, 위와 같은 특별사업비 수수가 무죄인 ‘이유’는 ‘횡령 범행에 의하여 취득한 돈을 공모에 따라 내부적으로 분배’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피고인과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 사이에는 국정원 자금을 횡령하여 이를 모두 피고인에게 귀속시키기로 하는 공모가 있었고, 그에 따라 피고인이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가 횡령한 이 부분 특별사업비를 수수했다.
피고인은 횡령범행의 실행행위를 직접 수행하지는 않았으나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에 대한 우월하고 압도적인 지위에서 범행을 지시하고 이를 따른 남재준, 이병기, 이병호로부터 위 특별사업비를 수수했다.
피고인은 국정원 자금 교부를 중단하라고 지시한 상태에서 이병호가 피고인의 지시 없이 자발적으로 교부한 이 부분 특별사업비를 별다른 이의 없이 받았으므로, 위 돈이 종전에 받던 것과는 성격이 다른 돈이라는 것을 미필적으로나마 알고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원 특별사업비 2억 뇌물수수 무죄 원심 파기환송
기사입력:2019-11-28 12:51:4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6.12 | ▼3.82 |
코스닥 | 808.99 | ▼3.98 |
코스피200 | 427.81 | ▼0.2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90,000 | ▼142,000 |
비트코인캐시 | 711,500 | ▲4,500 |
이더리움 | 5,089,000 | ▲3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060 | ▲160 |
리플 | 4,769 | ▲3 |
퀀텀 | 3,405 | ▲2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045,000 | ▼171,000 |
이더리움 | 5,093,000 | ▲48,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010 | ▲160 |
메탈 | 1,158 | ▲1 |
리스크 | 680 | ▲7 |
리플 | 4,769 | ▲9 |
에이다 | 1,205 | ▲2 |
스팀 | 21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2,140,000 | ▼160,000 |
비트코인캐시 | 712,000 | ▲4,500 |
이더리움 | 5,095,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33,090 | ▲190 |
리플 | 4,771 | ▲6 |
퀀텀 | 3,396 | ▲6 |
이오타 | 310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