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도 분양시장은 실수요자들의 유입이 꾸준하다. 서울처럼 입주한지 10년이상된 노후 아파트 비중이 높은 곳은 새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서울시 전체 아파트는 총 164만1383가구로 조사됐다. 이 중 입주한지 10년 이상된 노후 아파트는 전체물량의 78%(128만4345가구)를 차지했다. 구별로 살펴보면 △도봉구가 98%로 노후 아파트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노원구 97% △양천구 88% △금천구 88% △영등포구 87% △광진구 86% △관악구 84% △강북구 82% △강남구 81% △구로구 81% △중랑구 80% 등이 노후 아파트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신규 아파트 입주물량도 부족하다. 리얼투데이가 조사한 결과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서울 전체 입주물량은 총 7만6688가구(임대제외)다. 이 중 노후 아파트(입주 10년차 이상) 비중이 80%이상 차지하는 지역들에서 공급되는 입주물량은 전체의 17%(1만3075가구) 수준이다. 이로 인해 노후 아파트 비중이 높은 지역들은 앞으로 입주물량도 부족함에 따라 새아파트의 희소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10월 현대산업개발은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면목3구역을 재개발한 ‘사가정 아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2층~지상 30층 11개동 1505가구 규모로, 이 중 1029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 59~114㎡규모로, 전체물량의 83%가 중소형 면적으로 이뤄진다. 단지 서측으로 현재 서울시의회에서 논의 중인 경전철 면목선 늘푸른공원역(가칭)이 개통될 예정이다. 또 지하철7호선 사가정역 역세권에 위치해 있어 강남구청역까지 약 15분이면 도달할 수 있다. 여기에 홈플러스가 마주해 주거편의성도 뛰어나다. 용마산이 차량 5분이면 이용할 수 있는데다 중랑천 수변공원도 도보 5분이면 이용 가능해 여가생활을 즐기기에도 좋은 환경을 갖췄다.
같은달 한화건설은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뉴타운 1-3구역에서 ‘영등포뉴타운 꿈에그린’을 분양한다. 지하 5층~지상 최고 30층 총 296가구로 아파트는 전용 29~84㎡ 185가구, 오피스텔은 전용면적 21~36㎡ 111실이며 상업시설도 함께 갖추고 있다. 이 중 아파트 148가구와 오피스텔 78실을 일반에 분양한다. 지하철 5호선 영등포시장역이 직접 연결돼 초역세권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으며, 도보로 1ㆍ2ㆍ9호선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지하철로 여의도까지 4분, 마포 8분, 광화문까지는 17분 거리에 위치해 4대문안 출퇴근이 용이하며, 강남, 용산 등 주요 도심 업무지구로의 접근성도 우수하다.
10월 제일건설은 서울 구로구 항동지구 7블록에서 ‘서울 항동지구 제일풍경채’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전용 84∼101㎡, 총 345가구로 이뤄진다. 단지 주변이 녹지로 이뤄져 주거환경이 쾌적할 전망이다. 여기에 1호선 역곡역이 차량 3분거리에 위치해 있고, 1·7호선 온수역도 차량 5분 내 거리에 위치해 있다.
이밖에 부산시에서도 노후 아파트 비중이 전체 가구의 83%를 차지하는 부산진구에서 새아파트 분양이 준비 중에 있다. 10월 현대산업개발은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 2-1구역을 재개발하는 ‘서면 아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30층 전용 36~101㎡ 25개동, 총 2144가구로, 이 중 1225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단지 인근으로 부산지하철 전포역과 서면역이 위치한 더블역세권 단지로 부산전역으로의 이동이 쉽다.
김영삼 기자 yskim@lawissue.co.kr
“노후아파트 비중 80%이상인 곳, 새아파트 노려 볼만”
기사입력:2017-09-13 22:19:4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45.24 | ▼16.06 |
코스닥 | 863.11 | ▲6.00 |
코스피200 | 473.44 | ▼1.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651,000 | ▼55,000 |
비트코인캐시 | 834,500 | 0 |
이더리움 | 6,276,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970 | ▼60 |
리플 | 4,174 | ▲8 |
퀀텀 | 3,31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98,000 | ▲31,000 |
이더리움 | 6,271,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040 | ▲30 |
메탈 | 993 | ▼2 |
리스크 | 498 | ▼1 |
리플 | 4,171 | ▲9 |
에이다 | 1,240 | ▲3 |
스팀 | 18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600,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834,000 | ▼1,000 |
이더리움 | 6,27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960 | ▲30 |
리플 | 4,173 | ▲10 |
퀀텀 | 3,318 | 0 |
이오타 | 26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