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신종철 기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과 원내대표를 역임한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주회사의 손자회사가 외국인과 함께 공동출자법인을 설립할 수 있도록 예외적으로 허용해 SK와 GS에 대한 특혜법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조항을 폐지하는 외국인투자촉진법(외촉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30일 밝혔다.
현행 외촉법 제30조 제6항은 지주회사의 손자회사가 공동출자법인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 이상을 소유할 것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외국인과 함께 공동출자법인을 설립할 수 있도록 올해 1월 1일 개정됐다.
개정 당시 법사위원장이었던 박영선 의원은 “현행 지주회사 체제에서도 지분 20%만 투자하면 자회자, 손자회자를 만들 수 있는데 지분 100%를 투자해야 하는 증손자 회사에 대해 굳이 지분율을 50%로 완화해 외국인공동출자 법인을 허용해 달라는 것은 재벌들이 한 때 외국으로 빼돌렸던 검은머리 외국인의 돈을 활용하는 편법 문어발식 확장, 경제력 집중을 허용해 주자는 것”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한 바 있다.
현행법으로의 개정 당시인 지난 1월 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7차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개정안이 통과되면 2조3000억원의 외국인 투자와 1만4000명의 직ㆍ간접 고용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영선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 역시 경제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의 이유를 들어 법 개정을 강하게 촉구했으나 실상은 외국인촉진법의 해당 조항 개정 이후 이 조항과 관련한 신규 외국인 투자는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올해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하면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지난해 10월 새누리당 원내대표 시절 ‘2조원 이상 외국인 투자자들이 발길을 돌릴 처지’라며 외국인촉진법 개정안 통과를 밀어붙였던 사실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성과라고 밝히는 SK종합화학 투자 건은 현행법으로의 개정 전 이미 결정되었던 사안(울산 아로마틱스 2011년 8월 투자계약, 유베이스매뉴팩쳐링 2011년 9월 투자계약)이며, 1조원 규모의 GS칼텍스 여수산업단지 건은 아직까지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개정 외국인투자촉진법 시행 후 이와 관련해 신규 채용된 인원은 99명에 불과했다”며 “산업자원부 자료에는 울산 아로마틱스 111명, 유베이스매뉴팩쳐링 59명 직접 고용이라고 돼 있으나, 이는 위 법 개정안 통과 이전에 고용된 인원을 포함한 숫자이며 실제 확인 결과 법 통과 이후 신규 고용인원은 울산 아로마틱스 99명”이라고 지적했다.
박영선 의원은 그러면서 “외촉법의 해당 조항을 적용한 추가 외국인 투자가 없는 등 당시 법 개정의 필요성으로 주장됐던 경제효과들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실상 거짓으로 드러났다”며 “따라서 지주회사 제도의 근간을 훼손할 수 있는 외촉법의 해당 조항은 폐지돼야 한다”고 법안 발의 취지를 밝혔다.
올해 초 개정 이전의 외촉법에서 손자회사로 하여금 증손회사를 소유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제한한 이유는, 손자회사가 이를 경제력 집중의 수단으로 남용해 공정거래법에 명시된 지주회사 제도의 근간을 무너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초 외촉법이 개정되면서 이러한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특히 SK종합화학이나 GS칼텍스는 이 법이 개정되기 전부터 해당 사업을 준비해 오고 있었으며 위법 논란에 휩싸여 있었으므로 현행 외촉법의 해당 조항은 사실상 양 회사를 위한 특혜법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고 말했다.
박영선 “SK종합화학ㆍGS칼텍스 특혜법 논란 외촉법”…원상회복 개정안 발의
“외촉법 경제효과 사실상 거짓…지주회사 제도의 근간 훼손할 수 있는 외촉법 해당 조항은 폐지돼야” 기사입력:2014-12-01 11:08:1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8.07 | ▼4.22 |
코스닥 | 820.67 | ▲2.40 |
코스피200 | 431.10 | ▼0.5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924,000 | ▲368,000 |
비트코인캐시 | 723,500 | ▲2,500 |
이더리움 | 4,912,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440 | ▼40 |
리플 | 4,698 | 0 |
퀀텀 | 3,319 | ▼1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713,000 | ▲143,000 |
이더리움 | 4,907,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450 | ▲80 |
메탈 | 1,125 | ▼1 |
리스크 | 636 | ▼3 |
리플 | 4,689 | ▼14 |
에이다 | 1,157 | ▼3 |
스팀 | 20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810,000 | ▲120,000 |
비트코인캐시 | 723,500 | ▲2,500 |
이더리움 | 4,915,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2,500 | ▲30 |
리플 | 4,699 | ▲1 |
퀀텀 | 3,312 | ▼22 |
이오타 | 32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