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주현 기자] 장애인·노인·어린이 등 교통약자들의 이동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자유한국당 이종명 의원은 23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이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를 새로 도입, 건설, 개량, 신설, 확장 및 보수하는 경우, 그에 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교통약자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교통약자법'은 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편의시설을 설치한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에 인증을 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임의조항이라 실제 인증받은 경우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이 이 의원의 지적이다.
국토교통부의 ‘2016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버스나 철도차량 등 전국의 교통수단은 5만6840개, 역사나 버스터미널 등 여객시설은 1562개소(버스정류장 제외)로 집계가 되고 있다. 이중 2017년 말 기준으로 인증받은 교통수단은 하나도 없고, 인증을 받은 도로는 전국을 통틀어 8건에 불과하며, 인증받은 여객시설은 97개소(버스정류장 제외)로 전체 여객시설의 6.2%에 불과하다.
그런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교통약자들은, 건축물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 등 사회기반시설을 일상생활에서 연속적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교통수단·여객시설·도로 또한 인증 의무화를 통해 이동권과 시설접근성을 보장해야만 건축물 이용 편의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 의원은 '장애인등편의법' 개정을 통해 공공부문의 일정 건축물에 인증이 의무화된 것에 발맞춰, 공공부문의 일정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 또한 인증을 의무화하도록 하는 '교통약자법' 개정안을 발의하게 됐다고 발의 취지를 설명했다.
이 의원은 “건축물만 이용하고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는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는데, 이미 2년 전부터 공공부문 건축물은 인증이 의무화됐음에도,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에 대한 인증이 의무화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라면서 “ 교통약자법 개정안이 하루 빨리 통과돼,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 및 시설접근성이 보장되고 사회 참여와 복지가 한층 더 증진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주현 기자 law2@lawissue.co.kr
이종명 의원, 장애인 교통불편 해소 위한 ‘교통약자법 개정안’ 대표발의
기사입력:2018-03-23 11:57: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964,000 | ▲27,000 |
비트코인캐시 | 716,500 | ▼1,500 |
이더리움 | 4,00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30 | ▼50 |
리플 | 3,778 | ▼17 |
퀀텀 | 3,000 | ▼3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8,992,000 | ▼5,000 |
이더리움 | 4,005,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20 | ▼90 |
메탈 | 1,033 | ▼8 |
리스크 | 575 | ▼5 |
리플 | 3,781 | ▼12 |
에이다 | 983 | ▼4 |
스팀 | 19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07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717,500 | ▲1,000 |
이더리움 | 4,00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90 | ▼90 |
리플 | 3,781 | ▼19 |
퀀텀 | 2,999 | ▼19 |
이오타 | 26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