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법 경주지원, 전선 설치·보존상 하자 화재 한전 손배책임 50%

기사입력:2025-04-15 09:14:12
법원(로이슈DB)

법원(로이슈DB)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전신주 및 전선의 설치·보존상의 하자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해당 시설물의 관리 주체인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다만 이 사건 화재는 강풍 등의 자연력과 전선에 대한 보존상 하자가 경합하여 발생한 것으로 한전의 책임을 50%로 제한했다. 위자료는 원고의 재산, 이 사건 화재의 경위 및 결과, 당사자의 과살 정도, 이 사건 화재로 인한 그 밖에 이 사건 변론에 나타난 여러 사정을 참작해 3000만 원으로 정했다.

15일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따르면 대구지방법원 경주지원 권기백 부장판사는 2025년 3월 19일 건물 소유자(원고)가 한전(피고)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피고는 원고에게 75,490,626원(=재산상 손해 45,490,626원+위자료 30,000,000원) 및 이 사건 화재의 발생인 2020. 9. 3.부터 판결 선고일인 2025. 3. 19.까지는 연 5%, 그 다음날 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12%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지급하라(가집행 가능)”고 판결을 선고했다.

원고의 나머지 청구는 기각했다. 소송비용 중 1/2은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기 각 부담한다.

울산에 위치한 한 건물에서 양조장을 운영하던 A씨는 2020년 9월 태풍 ‘마이삭’으로 인해 발생한 강풍으로 건물 지붕과 한전이 설치, 관리하는 전선간 마찰이 일어나면서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이 전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로인해 양조장 설비를 포함한 모든 재산이 소실되었고, 이에 따라 A씨는 한전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소송을 진행하기 어려웠던 A씨는 법원의 소송구조 제도를 통해 법률구조공단의 법률 지원을 받게 됐다.

한전은 "이 사건 전선이 2008년 설치된 반면, 건물은 2017년 준공되어 전선설치 당시 이격 거리를 준수했으며, 화재 현장 조사에서도 발화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사건 화재는 태풍이라는 불가항력적인 자연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전선의 하자와 화재로 인한 손해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없다"는 항변을 했다.

이에 대해 공단은 화재의 원인 규명 및 전선에 대한 설치·보존상의 하자 여부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전문심리위원제도’를 활용했다.

전기·전자 및 화재 조사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질의응답 형식으로 사건을 분석한 결과, 전선이 건물과 지나치게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강풍으로 인해 건물과의 접촉이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졌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법원은 이를 근거로 “전선이 건조물과 접근상태로 시설된 경우에는 해당건조물과의 접촉에 의해 생기는 화재의 위험 등이 없도록 일정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야 함에도 한전이 이러한 관리·보존 의무를 다하지 아니한 것이 이 사건 화재의 발생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다만 이 사건 화재는 강풍 등의 자연력과 전선에 대한 보존상 하자가 경합하여 발생한 것으로 한전의 책임을 50%로 제한한다”는 판결을 했다.

A씨를 대리해 소송을 진행한 공단 소속 유현경 변호사는 “이번 사건을 통해 전문심리위원제도를 활용하여 화재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시설물 설치·보존상의 하자를 입증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유 변호사는 “거리의 전신주와 전선을 살펴보면 전선 간 얽힘, 건축물, 가로수 등과의 이격 거리 미준수 및 접촉 사례가 빈번하게 발견되는데, 관리 주체인 한전은 정기 점검 및 순시를 철저히 실시하여 전신주 및 전선의 하자를 적극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화재 예방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6.64 ▼1.78
코스닥 716.12 ▲0.67
코스피200 328.61 ▼0.7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8,436,000 ▲927,000
비트코인캐시 501,000 ▲3,200
이더리움 2,357,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630 ▲40
리플 3,033 ▲16
이오스 920 ▲10
퀀텀 3,058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8,476,000 ▲937,000
이더리움 2,356,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2,600 ▲20
메탈 1,205 ▲13
리스크 734 ▲4
리플 3,028 ▲12
에이다 925 ▲7
스팀 20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8,570,000 ▲1,060,000
비트코인캐시 501,000 ▲2,400
이더리움 2,359,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2,650 ▲60
리플 3,034 ▲16
퀀텀 3,043 0
이오타 254 ▲6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