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KTX 등 열차 핵심부품 10종 국산화…“연 50억원 절감”

기사입력:2024-11-27 17:04:14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27일 오전 대전사옥 디지털허브에서 ‘철도차량부품개발사업 성과보고회’를 열었다.(사진=코레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27일 오전 대전사옥 디지털허브에서 ‘철도차량부품개발사업 성과보고회’를 열었다.(사진=코레일)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KTX-이음과 전동열차 등 철도차량의 핵심 부품 10종에 대한 국산화를 성공시켰다고 27일 밝혔다. 외산 부품 수입과 비교해 조달기간을 최대 10개월 단축하고 연간 49.3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코레일은 기대하고 있다.

코레일에 따르면 이번에 국산화에 성공한 부품은 △동력분산식 고속철도 차량인 KTX-이음 8종(고강도·고성능 제동시스템, 모듈형 주회로차단시스템, 고효율 친환경 공조시스템, 주행안정성 확보를 위한 공기스프링 등)과 △도시철도 차량인 전동열차 1종(전기식 출입문시스템) △트램 1종(경량화 설계된 저상 트램용 관절장치) 등 모두 10개다.

이번 사업으로 코레일은 KTX-이음의 부품 국산화율이 90% 이상으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차량 안전과 성능에 직결되는 핵심부품의 기술자립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국내 기업의 시장진입을 지원한다.

또 철도운영기관마다 다른 전동열차 출입문시스템의 사양을 통합하고 최적화된 설계기술 표준을 마련해 비용을 최소화했다. 저상 트램용 부품은 관절장치 독자모델을 개발해 국내 트램 시장의 산업 기반을 넓혔다.

앞으로 코레일은 부품 업체와 연계해 해외판로를 개척하고 실용화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중소기업과 동반상생하고 국내 기술력으로 자생가능한 철도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을 보탠다.

이를 위해 해외 시장진출 관련 국제인증(SIL, TSI 등) 획득을 추진하고,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국내외 인증기관과 협업해 성능을 검증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 4월부터 개발 부품을 실제 차량에 시범 설치해 인터페이스, 내구성, 안전 기능 등을 확인하는 ‘현차 시험’을 진행 중이다. 수요처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현차 적용 실적과 신뢰성을 쌓아가고 있다.

한편 코레일은 27일 대전사옥 디지털허브에서 ‘철도차량부품개발사업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행사는 사업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개발 부품 소개, 향후 실용화·사업화에 대한 지원방안 등을 발표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철도운영기관과 차량 제작사, 부품업체 등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힘을 모아 고속철도차량 기술자립의 길에 한발 더 가까워졌다”며 “현재 연구 중인 시장선도형 부품개발도 차질 없이 마무리해 우리의 기술이 한국철도를 넘어 글로벌 철도 표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833,000 ▲580,000
비트코인캐시 574,000 ▲500
이더리움 3,501,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7,870 ▲90
리플 3,313 ▲14
이오스 1,253 ▲4
퀀텀 3,500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755,000 ▲492,000
이더리움 3,49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7,830 ▲80
메탈 1,276 ▲3
리스크 800 ▲1
리플 3,314 ▲17
에이다 1,129 ▲14
스팀 22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740,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573,000 ▲500
이더리움 3,504,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7,860 ▲80
리플 3,316 ▲17
퀀텀 3,498 ▲40
이오타 341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