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카카오픽코마(대표이사 김재용)의 글로벌 디지털만화 플랫폼 ‘픽코마’가 2021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소비자의 유료 이용이 가장 많았던 만화앱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 data.ai(구. 앱애니)가 이달 5일 발표한 ‘2022년 모바일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픽코마는 전 세계만화(도서 및 참고자료) 앱 부문에서 소비자 지출이 많은 상위 앱 랭킹 1위를 꾸준히 유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4월 일본에서 첫 선을 보인 픽코마는 2020년 7월 처음 전세계 만화 앱 매출 1위를 차지하고 지금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
픽코마의 견조한 성장에는 온/오프라인 만화팬 및 만화를 감상하지 않았던 모바일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화 콘텐츠를 향유하는 새로운 방식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픽코마는 만화팬들을 위해 일본 유수의 출판사가 제공중인 도서형태의 다채로운 장르 및 인기 만화(망가)를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해 시간과 장소에구애받지 않고 작품을 향유하는 감상환경을 마련했다.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웹툰을 통해 만화를 감상하지 않는 잠재 고객들도 만화가 지닌 매력과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게 했다.
이를 위해 △모바일로 콘텐츠를 즐기는 이용자들을 위한 UI/UX 적용 △만화 1권을 에피소드에 따라 ‘1화, 2화…’로 나눠 제공하는 '화 분절' 방식고안 △'기다리면 0엔' 도입 △‘작품 first’로 대변되는 작가 우선주의 경영 등 이용자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산업 내 이해관계자들과 동반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펼쳤다. 최근에는 모바일로 콘텐츠를 즐기는 이용자들이 픽코마를 통해 만화를 스낵컬쳐처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경로를 제공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픽코마가 서비스를 제공 중인 일본 및 유럽의 플랫폼 산업이 성장 중인 것으로 나타나 픽코마의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같은 보고서에서2021년 일본의 만화앱 부문 소비자 지출 성장은 일본이 가장 크게 기여하여 1.7조원을 기록했으며, 유럽 및 아메리카 지역의 만화앱 총 사용 시간도 크게 증가했다고 알려졌다.
올해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프랑스 픽코마는 프랑스에서 선호도가 높은 일본식 만화(망가)와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웹툰을 동시에 제공하며순항 중이다. 일본과 프랑스 출판사들이 보유한 작품이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오리지널 슈퍼IP를 포함한 한국, 일본, 중국의 인기 웹툰도 이용자들과 만나고 있다.
카카오픽코마 김재용 대표는 “이번 성과는 기존의 만화팬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서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 전체에게 다가가기 위한 전략에 근거한 결과”라며, “언제 어디서든 기존 오프라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해 보다 많은 감상자에게 다가가고 더 큰 만화시장을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카카오픽코마 글로벌 디지털만화 플랫폼 ‘픽코마’ 세계 소비자 지출 가장 많은 만화 앱 1위 차지
기사입력:2022-04-11 11:42: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921,000 | ▼255,000 |
비트코인캐시 | 521,000 | ▼2,000 |
이더리움 | 2,652,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80 |
리플 | 3,194 | ▼7 |
이오스 | 1,016 | ▲13 |
퀀텀 | 3,183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948,000 | ▼347,000 |
이더리움 | 2,650,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20 | ▼50 |
메탈 | 1,215 | ▼3 |
리스크 | 794 | ▲3 |
리플 | 3,193 | ▼10 |
에이다 | 1,020 | ▼5 |
스팀 | 21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930,000 | ▼290,000 |
비트코인캐시 | 521,000 | ▼2,500 |
이더리움 | 2,652,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70 |
리플 | 3,195 | ▼7 |
퀀텀 | 3,177 | ▼13 |
이오타 | 30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