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로보틱스, 국내 최초로 협동로봇 연간 판매량 1,000대 돌파

기사입력:2021-12-22 13:53:16
[로이슈 편도욱 기자] 두산로보틱스가 국내 최초로 협동로봇 연간 판매량 1,000대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2015년 설립된 두산로보틱스는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해 협동로봇을 생산해 왔으며, 2018년부터 줄곧 국내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켜왔다. 판매 대수와 매출은 연 평균 70%씩 성장하고 있으며, 협동로봇 수요 증가와 맞물려 현재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외 협동로봇 시장에서 두산로보틱스의 실적이 특히 두드러진다. 북미, 서유럽 등 해외 판매 비중이 70%로 늘어나면서 국내 협동로봇 기업 최초로 ‘글로벌 톱5’에 진입했으며, 이 지역에 법인을 설립해 성장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러한 성과는 ▲협동로봇 업계 최다 라인업 ▲독자적인 토크센서 기술 기반의 업계 최고 수준 안전성 ▲사용 편의를 위한 직관적 인터페이스 부문 등 두산로보틱스가 갖춘 우수한 경쟁력에 따른 것이다. 또한, 제조업에 국한하지 않고 서비스 산업 전반으로 사업영역을 넓혀 더욱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두산로보틱스는 전 직원의 약 40%를 연구개발(R&D) 인력으로 구성해 제품 개발 및 연관 소프트웨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산업에서의 협동로봇은 다양한 기술, 제품 등과 융합해서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게 포진한 R&D 인력이 두산로보틱스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

두산로보틱스는 ‘2022 CES혁신상’을 수상한 카메라로봇(New Inspiration New Angle, NINA)을 비롯해 모듈러 로봇카페, 아이스크림 로봇, 의료 보조 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로봇으로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 카메라 로봇(NINA)은 이번 ‘CES 2022’에서 제품을 공개하고 이후 글로벌 판매를 본격 진행할 예정이며, 모듈러 로봇 카페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이러한 성과와 경쟁력을 인정받아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와 한국투자파트너스로부터 4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들 투자사는 두산로보틱스의 미래가치와 성장성을 인정해 보통주 신주 441,998주를 주당 90,498원에 발행하는 제3자배정 방식 증자에 참여했다. 증자 이후 두산로보틱스에 대한 ㈜두산의 지분율은 100%에서 약 90.9%로 변동된다.

두산로보틱스는 이번 자금을 글로벌 판매 거점 확대, 혁신적 신제품 개발, 국내외 파트너십 추가 확보, 연관 기술 지분 투자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두산로보틱스는 제조업 및 서비스 협동로봇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주자로 자리하겠다는 목표 아래 향후 기업공개(IPO)도 추진할 계획이다.

두산로보틱스 류정훈 대표는 "두산로보틱스의 미래가치를 인정받아 기쁘다”면서 “자체 개발 기술을 적용한 신제품과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더욱 끌어 올려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세계 최고의 로봇회사로 올라서겠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69.51 ▲9.72
코스닥 721.30 ▼0.56
코스피200 340.81 ▲2.0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55,000 ▼63,000
비트코인캐시 534,500 ▲500
이더리움 2,59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080 ▲90
리플 3,048 ▲5
이오스 981 ▼4
퀀텀 2,904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48,000 ▼61,000
이더리움 2,59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090 ▲140
메탈 1,102 0
리스크 678 ▲4
리플 3,046 ▲5
에이다 962 ▲3
스팀 19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3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534,000 ▲1,000
이더리움 2,592,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3,070 ▲90
리플 3,047 ▲6
퀀텀 2,906 ▲11
이오타 27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