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의 대규모 신입사원 채용, 최근 3년 새 1/3 수준 급감

기사입력:2021-12-02 08:37:35
[로이슈 편도욱 기자] 인크루트(대표 서미영)는 국내 상장 기업 317개 사(대기업 74개 사, 중견기업 91개 사, 중소기업 152개 사) 대상 ‘2021년 기업 신입 채용 결과’를 조사했다.

먼저, 조사대상 기업의 채용 여부를 물었다. 신입사원을 채용했던 기업은 239개 사(75.4%), 반면 1년간 채용을 하지 않은 기업은 78개 사였다. 기업규모별로 분류한 결과, 대기업은 91.9%, 중견기업은 87.9%, 중소기업은 59.9%였다.

올해 대기업의 신입사원 채용률(91.9%)은 2019년 동일 조사 결과인 94.5%에 못 미치는 수준이나 코로나 대유행으로 산업 전반이 어수선했던 2020년(89.5%)보다 올랐다.

그렇다면, 국내 채용시장의 큰손인 대기업은 올 한 해 신입사원을 얼마나 채용했을지 그 규모를 조사했다.

올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대기업 대상으로 기업규모별 채용규모를 조사한 결과, ▲한 자릿수(17.6%) ▲두 자릿수(75.0%) ▲세 자릿수(7.4%)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국내 채용시장 기여도를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최근 3년간 동일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 자릿수 채용 추이를 알아본 결과, 2019년 23.3%에서 2020년 11.8%, 2021년 7.4%로 3년 새에 15.9%p,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처럼 최근 3년 새 세 자릿수 이상 대규모 신입사원 채용이 급감한 데에는 경제 불황 장기화로 인한 긴축 정책과 더불어 경력직 선호, 적시에 필요한 인원만 뽑는 수시공채 비중 확대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

최근, 국내 대기업의 수시공채 전환이 이어지고 있다. 수시공채 전환 비중 확대에 대한 사실을 확인하고자 최근 4년간의 동일 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채용방식의 변동을 알아봤다.

올 한 해 대기업에서 이뤄졌던 채용방식은 ‘대졸 정기공채’ 29.4%, 대졸 수시공채 58.8%, 채용연계형 인턴 11.8%였다.

4년간 추이를 살펴본 결과, 2018년 61.0%였던 대졸 정기공채 비중은 2019년 60.0%, 2020년 40.7%, 2021년 29.4%로 2018년 대비 올해 약 32%p 감소했다. 반면, 대졸 수시공채는 2018년 18.0%였으나 2019년 25.6%, 2020년 37.0%, 2021년 58.8%로 최근 4년간 40%p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3.74 ▲18.79
코스닥 790.36 ▲6.12
코스피200 422.02 ▲0.8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758,000 ▼442,000
비트코인캐시 692,000 0
이더리움 3,62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460 ▼10
리플 3,230 ▼21
퀀텀 2,79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785,000 ▼443,000
이더리움 3,62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400 ▼90
메탈 954 ▼0
리스크 546 ▼4
리플 3,227 ▼23
에이다 833 ▼6
스팀 18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780,000 ▼550,000
비트코인캐시 694,000 ▲1,500
이더리움 3,629,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470 ▼30
리플 3,229 ▼23
퀀텀 2,793 ▼2
이오타 23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