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혈중 CRP(C-반응성 단백질) 수치와 알부민 수치가 당뇨병 위험을 예측하는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테라젠바이오(대표 황태순)는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장 정동혁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들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40~60대 한국인 5천904명을 ‘알부민 수치 대 CRP 수치 비율(CAR)’ 기준, △0.2 미만 △0.2 이상~0.44 미만 △0.44 이상의 3개 그룹으로 나눠 평균 7년 6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이 중에서 당뇨병 진단을 받은 701명을 별도 분석해 보니, 혈당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CAR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에서의 발병 확률이 1.6배 높았다. (OR 1.60, 95% CI 1.24–1.89)
특히 CAR은 현재 주로 사용 중인 당뇨병 예측 지표 ‘인슐린 저항성 지수(HOMA-IR)’에 비해 분석 절차가 간단하고 비용이 낮음에도 유사한 수준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근거로 그동안 심혈관질환의 진단과 경과 관찰 등에 주로 사용되던 CRP 수치를 당뇨병 위험도 예측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됐다.
혈당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CAR이 높은 사람에게는 운동과 식이요법,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 및 당뇨병 예방을 위한 약물 치료 등을 권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팀은 철분 대사와 관련된 유전지표 및 철분 섭취량에 따라서 당뇨병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내용도 밝혀냈다. 철분 과다 섭취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일 코호트의 한국인 6천413명을 대상으로 8년여 간 관찰한 결과, 유전자 ‘HFT’, ‘HFE’에 변이가 있으면서 햄이나 적색육류를 많이 먹는 사람은 2형 당뇨병 발생률이 최대 1.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R 1.43, 95% CI 1.11–1.86)
연구팀은 이 지표를 기존 ‘인슐린 저항성 지수’와 함께 사용하면 당뇨병 진단 정확도(AUC)가 기존 73%에서 78%로 5%p 높아진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 역시 진단에 활용할 경우, 정확도 향상과 함께 해당 유전 변이 보유자의 식단 조정 등을 통해 당뇨병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 연구 결과는 각각 국제 당뇨 저널인 ‘당뇨병 회보(Acta Diabetologica)’ 및 ‘유럽영양학저널(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테라젠바이오는 국내 최고 수준의 유전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질병 진단 및 예측 분야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마커 발굴 및 동반진단 분야로도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테라젠바이오, CRP수치 등 당뇨 위험도 예측 새 지표 발굴
기사입력:2021-07-22 11:11:0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39.61 | ▲31.19 |
코스닥 | 738.07 | ▲6.19 |
코스피200 | 351.66 | ▲4.4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33,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575,000 | ▲500 |
이더리움 | 3,754,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30 | ▲60 |
리플 | 3,620 | ▲4 |
이오스 | 1,235 | ▲6 |
퀀텀 | 3,629 | ▲2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73,000 | ▲127,000 |
이더리움 | 3,754,000 | ▲2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40 | ▲90 |
메탈 | 1,271 | ▲7 |
리스크 | 813 | ▲3 |
리플 | 3,619 | ▲4 |
에이다 | 1,162 | ▲10 |
스팀 | 228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20,000 | 0 |
비트코인캐시 | 575,000 | ▲500 |
이더리움 | 3,756,000 | ▲2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80 | ▲110 |
리플 | 3,623 | ▲5 |
퀀텀 | 3,610 | ▼5 |
이오타 | 35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