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홍 삼표산업 부사장 “UHPC, 건축물 가치 높이는 친환경 콘크리트 신소재”

기사입력:2021-03-21 10:20:41
[로이슈 편도욱 기자] 삼표산업 기술마케팅담당 이석홍 부사장이 지난 19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K-뉴딜 서밋(SUMMIT) 컨퍼런스’에서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이 건축물 가치 높이는 친환경 콘크리트 신소재"라고 말했다.

UHPC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강도가 최대 10배 높고 유연성이 크다. 이 덕에 철근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콘크리트 단면을 줄일 수 있어 탄소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다. 다양한 건축물의 형태를 연출할 수 있는데다 원하는 형상, 색상, 질감 등 표현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

이런 장점에 힘 입어 UHPC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건축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건설 융합 신기술의 대표주자로 평가된다.

이석홍 부사장은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K-뉴딜 정책이 건설산업 전반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양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건설업계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며 “이 같은 변화는 기존 건설과 첨단 기술의 융합으로 과거에 없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유망 건설기술로 UHPC를 꼽았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나온다. 시멘트가 주재료인 콘크리트는 가장 많이 쓰이는 건설재료 가운데 하나다.

이 부사장은 “UHPC는 *PC(Precast Concrete) 공법 등 탈건설화(OSC•Off Site Construction)의 핵심자재로 공사 과정에서 소음, 분진이 적고 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며 “이런 특징 덕분에 ESG경영 차원에서 차세대 친환경 건설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 PC 공법: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기둥, 보, 슬라브 등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설치하는 공법

건설현장의 디지털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3D 프린팅, BIM 등 디지털 기술을 만나 대상 구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최근 UHPC를 뿜어서 적층 성형하는 3D프린팅 기술이 도입돼 구조물 모양의 제한이 거의 없어졌다.

그는 “3D 프린팅 비정형 철근, BIM기술 등의 구현을 가능하게 해 건설현장의 디지털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039,000 ▼506,000
비트코인캐시 535,500 ▼12,500
이더리움 2,623,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340 ▼300
리플 3,147 ▼14
이오스 1,024 ▼6
퀀텀 3,127 ▼4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063,000 ▼497,000
이더리움 2,62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390 ▼250
메탈 1,178 ▼20
리스크 784 ▼34
리플 3,148 ▼16
에이다 992 ▼5
스팀 215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980,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534,500 ▼13,000
이더리움 2,622,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360 ▼290
리플 3,147 ▼17
퀀텀 3,160 0
이오타 30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