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서부발전과 두산중공업은 세계 최초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연계한 하이브리드 발전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10월부터 약 2년에 걸쳐 기술개발에 매진해 온 두 기관의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
ESS 연계 하이브리드 발전기술 개발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로 인한 전력계통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수되었다.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기상조건 등에 따른 간헐적 전력생산 등으로 주파수 변동에 따른 전력품질 악화를 야기하는데, 이를 극복하고 화력발전의 유연성을 높이고자 관련기술 개발에 나선 것이다.
기존에는 이러한 주파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화력발전소에 급전지시가 내려왔고, 이에 따라 발전기의 출력이 빠르게 오르내리면서 운전 효율성이 떨어졌다. 하지만 화력발전과 ESS를 연계, 전력 저장과 더불어 신속한 주파수 추종운전이 가능해져 갑작스런 발전출력 증‧감발 운전에도 효율감소 없이 신속한 전력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화력발전소의 운전 효율성 제고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에 따른 불안정한 전력계통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될 전망이다. 관련업무 담당자에 따르면, 자체 테스트 결과 효율적인 발전소 운영을 위해선 설비용량 500MW 대비 ESS 배터리용량은 25MW 수준이 적정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ESS연계로 인한 장점은 이뿐만 아니다. 발전소 효율 향상에 따른 연료비 절감 효과와 함께 연간 약 2만t의 이산화탄소도 감축할 수 있을 전망이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도 기대된다.
서부발전은 세계 최초로 발전단에 ESS를 기능적으로 융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이 기술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일몰제로 인해 침체에 빠져있는 ESS산업 전반에 큰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부발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석탄화력의 역할전환이 시급히 필요한 만큼 하루빨리 해당기술의 실증계획을 수립해 국내 발전시장 적용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서부발전, ESS 연계 ‘하이브리드’ 발전 신기술 개발
기사입력:2020-11-03 22:29:4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6.27 | ▲41.21 |
코스닥 | 793.33 | ▲11.16 |
코스피200 | 420.94 | ▲6.5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356,000 | ▲345,000 |
비트코인캐시 | 678,000 | ▲4,000 |
이더리움 | 3,526,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90 | ▲20 |
리플 | 3,101 | ▲16 |
퀀텀 | 2,78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445,000 | ▲240,000 |
이더리움 | 3,526,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210 | ▲10 |
메탈 | 942 | ▲2 |
리스크 | 533 | 0 |
리플 | 3,101 | ▲16 |
에이다 | 811 | 0 |
스팀 | 179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540,000 | ▲340,000 |
비트코인캐시 | 680,000 | ▲6,000 |
이더리움 | 3,527,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260 | ▲70 |
리플 | 3,104 | ▲18 |
퀀텀 | 2,760 | 0 |
이오타 | 22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