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정부가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성인남녀 절반은 내 집 마련에 대해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성인남녀 2,591명을 대상으로 ‘내 집 마련에 대한 생각’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자가 주택 거주자를 제외한 응답자(1,991명) 중 절반이 넘는 51.4%가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가능하다고 답한 응답자들(967명)은 내 집 마련이 평균 10.3년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평균 6.1억이 더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가 주택 거주자를 제외한 응답자들(1,991명) 중 71.5%는 내 집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적금, 예금 등 저축’(86%, 복수응답)을 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주식 등 재테크’(24.5%), ‘부동산 공부’(19.9%), ‘본업 외 투잡’(10.2%)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노력을 하는 이유로는 ‘안정적으로 살고 싶어서’(76.8%, 복수응답)를 단연 첫번째로 꼽았다. 다음은 ‘전세 인상 및 월세가 부담스러워서’(29.6%), ‘주택가격이 급상승해 더 늦으면 안될 것 같아서’(23%), ‘잦은 이사가 귀찮아서’(15.9%), ‘부동산이 최고의 재테크라 생각해서’(15.4%), ‘청약 등의 제도가 현재 유리한 시기라서’(8.4%) 등의 순이었다.
내 집 마련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선은 ‘부담스럽지 않은 한도의 대출을 받음’(57.1%), ‘가지고 있는 자산과 대출을 최대치로 받음’(28.5%)이 대부분이었고, ‘대출 없이 가지고 있는 자산 내에서 가능한 선’은 14.4%에 불과했다.
내 집 마련을 결심하게 된 시기는 ‘최근 1년 이내’(40%)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은 ‘최근 2년 이내’(19.6%), ‘5년 이상’(18.4%), ‘최근 3년 이내’(12%), ‘최근 5년 이내’(7.1%) 등이 이어졌다.
반대로 특별히 노력을 하지 않는 응답자(567명)들은 ‘노력해도 불가능할 것 같아서’(59.4%, 복수응답)를 이유로 가장 많이 선택했다. 자의가 아니라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력의 의미가 없다고 여기고 있는 것.
한편, 전체 응답자(2,591명) 10명 중 7명은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진다’(71.1%)고 체감하고 있었다. ‘불가능해 진다’는 응답도 19.8%였다. 이전과 비슷하거나 쉬워진다는 응답은 9%에 그쳤다.
내 집 마련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제도적 장치는 ‘임대주택, 신혼희망타운 등 공공주택 확대’(49.6%, 복수응답)를 첫번째로 꼽았다. 다음은 ‘청약조건 다각화(추첨 비율 및 특별공급확대 등)‘(40.4%)가 바로 뒤를 이었고, 이밖에 ‘대출 확대’(32%), ‘다주택자 규제 강화’(31.9%), ‘취득세 등 세금 기준 완화’(22.5%), ‘택지개발, 재건축 완화 등으로 공급 확대’(21.8%) 등의 의견이 있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성인남녀 2명중 1명, ‘내 집 마련’ 이번 생엔 불가능
기사입력:2020-09-15 07:37:5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76.29 | ▼39.98 |
코스닥 | 780.38 | ▼12.95 |
코스피200 | 415.75 | ▼5.1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164,000 | ▲50,000 |
비트코인캐시 | 671,000 | ▼1,500 |
이더리움 | 3,53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60 | ▼40 |
리플 | 3,076 | ▼5 |
퀀텀 | 2,788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150,000 | ▼55,000 |
이더리움 | 3,528,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70 | 0 |
메탈 | 944 | ▲4 |
리스크 | 537 | ▲1 |
리플 | 3,076 | ▼6 |
에이다 | 818 | ▲1 |
스팀 | 17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280,000 | ▲10,000 |
비트코인캐시 | 673,000 | ▼1,000 |
이더리움 | 3,530,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90 | ▼70 |
리플 | 3,080 | ▼5 |
퀀텀 | 2,796 | ▲9 |
이오타 | 22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