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경기 양주, 화성, 평택 내 미분양 가구가 3개월새 75.0% 줄어 관심지역으로 떠올랐다. 총선 이후 택지지구, 도시개발을 통한 새 아파트 공급도 이어져 분양 결과에도 이목이 쏠린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국토부 미분양주택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말 경기 양주, 화성, 평택 미분양은 총 3584가구(경기도 전체의 49.1%)에 달했지만 2월말 895가구로 불과 3개월 동안 75.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감소율은 양주 97.6%(1142가구→28가구), 화성 83.6%(823가구→135가구), 평택 54.8%(1619가구→732가구) 순으로 미분양 가구가 줄었다.
부동산 전문가는 “이들 지역은 서울 전세값이면 내집마련이 가능한데다, 교통호재로 서울 등 주변 도시와의 거리도 계속 좁혀지고 있다”며 “화성 동탄2신도시를 제외하면 비규제지역이어서 분양 받는데 부담이 덜한 것도 미분양 해소에 도움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양주에는 서울 도봉산~양주 옥정을 잇는 지하철 7호선 연장이 올 상반기 착공 예정이며,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GTX-C노선도 계획돼 있다. 화성은 인덕원~동탄 복선전철(2026년 개통 예정)을 통해 경기 서남부권 접근성이 확 개선되며, 동탄도시철도인 트램(2027년 개통 계획)이 들어서면 SRT 동탄역 접근성도 좋아진다. 평택도 1호선 서정리역, SRT 지제역 등 이용이 편리하다.
규제 풍선효과도 톡톡히 누리는 모양새다. 양주, 화성(동탄2 제외), 평택은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 제약도 상대적으로 덜하다. 신도시 등 공공택지가 아니라면 전매제한도 당첨자 발표 후 6개월로 짧다.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도 없다.
기존 아파트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화성 4.6%, 양주 1.37% 올랐으며, 평택은 0.3% 올라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들 지역에서 눈 여겨볼 새 아파트 공급도 이어진다. 양주에서는 제일건설㈜이 4월 ‘양주 옥정신도시 제일풍경채 레이크시티’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A10-1∙2블록에 들어서며 옥정신도시에서 규모가 가장 큰 총 2474가구 대단지다. 옥정신도시는 지하철 7호선 연장선인 옥정역(예정) 개통시 강남까지 50분대 진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며, 향후 옥정신도시를 거쳐 포천까지의 연장 계획도 잡혀있다. 초∙중∙고(예정)가 모두 도보거리에 있으며, 수변 공간이 어우러진 옥정중앙공원이 접해 주거 여건도 쾌적하다. 축구장 크기의 대규모 커뮤니티시설도 선보일 예정이다.
GS건설은 화성 반월지구 도시개발사업으로 4월 ‘신동탄포레자이’를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59~84㎡ 1297가구 대단지로 조성되며, 영통∙기흥∙동탄 주요 인프라가 모두 가까운 ‘트리플 생활권’ 입지가 돋보인다.
상반기 제일건설㈜은 평택 고덕신도시 A41블록에서 ‘고덕신도시 제일풍경채 2차 Edu’를 분양 예정이다. 전용면적 75~84㎡ 총 877가구다. 유치원과 초·중·고교가 모두 도보권에 자리한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양주∙화성∙평택’ 3개월새 미분양 75% 급감
작년 11월말 3584가구에서 895가구로 확 줄어서울 전세값이면 내집마련 가능…교통 호재도 탄탄
비규제 지역에 분양돼 분양 받는데 부담 적어 기사입력:2020-04-06 15:08:5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68,000 | ▲69,000 |
비트코인캐시 | 668,000 | 0 |
이더리움 | 3,44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390 | ▲40 |
리플 | 3,035 | ▲1 |
퀀텀 | 2,672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31,000 | ▲37,000 |
이더리움 | 3,449,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10 | ▲50 |
메탈 | 914 | ▲1 |
리스크 | 515 | ▲2 |
리플 | 3,037 | 0 |
에이다 | 788 | ▲1 |
스팀 | 17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130,000 | ▲10,000 |
비트코인캐시 | 669,000 | ▲3,000 |
이더리움 | 3,448,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30 | ▲80 |
리플 | 3,036 | ▲1 |
퀀텀 | 2,647 | 0 |
이오타 | 21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