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현대·기아차가 2020 iF 디자인상을 동시에 수상하면서 디자인 경쟁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현대·기아차는 독일 국제포럼디자인이 주관하는 ‘2020 iF 디자인상(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의 제품 디자인 분야 수송 디자인 부문에서 현대차의 ‘쏘나타 센슈어스’, 전기차 콘셉트카 ‘45’와 기아차의 ‘엑씨드(XCeed)’, 전기차 콘셉트카 ‘이매진 바이 기아(Imagine by Kia)’가 각각 본상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현대차그룹 디자인담당 루크 동커볼케 부사장은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디자인 상 중 하나인 iF 디자인상을 수상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며, “현대·기아차의 검증된 디자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전달되는 디자인 가치를 확장시키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지난 2014년 2세대 제네시스(DH)를 시작으로 ▲2015년 ‘i20’ ▲2016년 ‘아반떼’, ‘투싼’ ▲2017년 ‘i30’ ▲2018년 ‘i30 패스트백’, ‘코나’ ▲2019년 ‘팰리세이드’, 콘셉트카 ‘르 필 루즈’에 이어 올해 ‘쏘나타 센슈어스’, 전기차 콘셉트카 ‘45’까지 7년 연속 iF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현대디자인센터장 이상엽 전무는 “현대차 디자인 철학인 센슈어스 스포티니스의 가장 핵심 차량인 쏘나타와 차기 전기차 디자인 방향성을 보여주는 전기차 콘셉트카 ‘45’가 함께 수상한 것에 큰 영광을 느낀다”며 “자동차업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도 일관되고 높은 수준의 디자인 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는 지난 2010년 유럽 전략 차종 벤가 ▲2011년 ‘K5’, ‘스포티지R’ ▲2012년 ‘모닝’ ▲2013년 ‘프로씨드’ ▲2014년 ‘쏘울’ ▲2015년 ‘쏘렌토’ ▲2016년 ‘K5’, ‘스포티지’ ▲2017년 ‘니로’, ‘신형 프라이드’, ‘K5 스포츠왜건’ ▲2019년 ‘프로씨드’, ‘씨드 해치백’, ‘씨드 스포츠왜건’에 이어 올해 ‘엑씨드(XCeed)’, 전기차 콘셉트카 ‘이매진 바이 기아(Imagine by Kia)’까지 11년 연속 iF 디자인상을 받았다.
기아디자인센터장 카림 하비브 전무는 “기아차는 지속적인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더욱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고객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러한 새로운 비전은 기아 크로스오버차량인 엑씨드와 ‘이매진 바이 기아’에 잘 녹아 있다”며 “저희의 결실이 전 세계 고객들에게 인정받았다는 사실에 무한한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대차가 지난해 구축한 개방형 라스트 마일(Last Mile) 모빌리티 플랫폼인 ‘제트(ZET)’가 플랫폼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자에게 최적화 됐다고 평가 받아 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제트를 통한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얻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설계한 전동 킥보드 콘셉트인 ‘EPV01’도 대여 편리성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상생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는 점을 높이 평가 받아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문에서 본상을 받았다.
현대차 융합기술개발실장 최서호 상무는 “앞으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더욱 고도화된 모빌리티 솔루션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현대·기아차, 쏘나타 센슈어스 등 ‘2020 iF 디자인상’ 수상
기사입력:2020-02-11 12:16:5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6.27 | ▲41.21 |
코스닥 | 793.33 | ▲11.16 |
코스피200 | 420.94 | ▲6.5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233,000 | ▲562,000 |
비트코인캐시 | 673,500 | ▼500 |
이더리움 | 3,516,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200 | ▲90 |
리플 | 3,079 | ▲20 |
퀀텀 | 2,771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256,000 | ▲504,000 |
이더리움 | 3,518,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90 | ▲90 |
메탈 | 941 | ▼1 |
리스크 | 527 | ▼3 |
리플 | 3,080 | ▲14 |
에이다 | 807 | ▲4 |
스팀 | 17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410,000 | ▲630,000 |
비트코인캐시 | 670,500 | ▼2,500 |
이더리움 | 3,518,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70 | ▼20 |
리플 | 3,080 | ▲14 |
퀀텀 | 2,760 | ▼10 |
이오타 | 22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