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칼슘신호 조절을 통한 급성 췌장염 치료 표적 제시

기사입력:2019-09-30 22:19:43
한국연구재단과 신동민 교수 연구팀은 급성 췌장염 진행과정에서 칼슘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SARAF)의 역할을 규명했다. 사진은 신동민 교수. 사진=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과 신동민 교수 연구팀은 급성 췌장염 진행과정에서 칼슘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SARAF)의 역할을 규명했다. 사진은 신동민 교수. 사진=한국연구재단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신동민 교수 연구팀과 미 국립보건원 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진이 급성 췌장염 진행과정에서 칼슘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SARAF)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소화기 분야 국제학술지 ‘가스트로엔테오로지(Gastroenterology)’에 지난 4일 게재됐다.

췌장의 샘꽈리세포에서 분비하는 여러 소화효소가 소장 등으로 분비되기 전에 세포질 내에서 활성화되면 세포 스스로를 분해시키면서 급성 췌장염이 발생한다.

췌장의 샘꽈리세포 안으로 칼슘이온이 과도하게 유입되면 칼슘자체의 독성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며 이어 세포 내 소화효소가 유리되어 췌장염이 발생한다.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통증완화 치료가 주로 이뤄진다고 전했다.

칼슘이온 통로(Orai1)를 없애 칼슘이온의 유입을 막으면 췌장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실제 칼슘이온 통로가 없는 생쥐모델의 경우 췌장 내 미생물총이 크게 영향을 받는 등 치명적 부작용으로 치료제로 개발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칼슘이온 통로 자체가 아닌 통로의 개폐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에 주목하고 급성 췌장염에서 조직 손상을 막는 단백질 SARAF*가 분해되어 사라지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쌤꽈리세포에서 SARAF가 분해되지 않도록 단백질을 안정화하거나 다시 보충해줄 수 있는 전략이 췌장염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췌장의 샘꽈리 세포에는 칼슘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해주는 대표적 칼슘이온 통로인 Orai1이 존재한다. 소포체(ER)에 칼슘이온이 고갈되면 소포체 막에 있는 Stim1 단백질이 서로 모이고 세포막에 있는 Orai1과 결합하면서 칼슘이온 통로인 Orai1이 열리고 세포 안으로 칼슘이온이 유입된다. 이 때 SARAF(store-operated calcium entry associated regulatory factor)가 Stim1(stromal interaction molecule 1)과 결합하게 되면 칼슘이온 통로가 닫히면서 세포 안으로 칼슘이온 유입이 중단된다고 설명했다.

췌장염 생쥐모델에서 처음에는 많이 만들어진 SARAF가 이후에 분해되면서 결과적으로 과도한 칼슘이온의 유입을 가져온다는 것이 연구의 출발이 됐다. 췌장염 환자의 생검샘플에서도 마찬가지로 SARAF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했다.

실제 칼슘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SARAF)이 만들어지지 않는 생쥐에 급성 췌장염을 유도한 결과 SARAF를 많이 만들어내는 생쥐에 비해 췌장염 진행정도가 더 심각했다고 알려졌다.

SARAF 유전자가 결여된 생쥐에서는 정상생쥐보다 췌장의 부종과 혈액 내 아밀라아제(amylase) 양이 더 증가한 것이다.

신동민 교수는 “칼슘신호 조절을 통해 췌장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 치료제가 미비했던 췌장염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559,000 ▲123,000
비트코인캐시 701,000 ▲500
이더리움 4,151,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5,830 ▲40
리플 4,040 0
퀀텀 3,16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521,000 ▼78,000
이더리움 4,148,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5,820 ▲50
메탈 1,085 ▼2
리스크 603 ▼5
리플 4,039 ▼2
에이다 1,020 ▼7
스팀 19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51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702,000 ▲500
이더리움 4,150,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5,880 ▲70
리플 4,039 ▼1
퀀텀 3,150 0
이오타 304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