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거제지역 시민사회·노동·정당 등은 8월 2일 오전 11시 거제시청 브리핑룸에서 일본 아베정권 규탄기자회견을 열었다.
친일김백일동상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 거제평화의소녀상 건립기념사업회,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8개단체), 민주노총 거제지역지부(18개 단체), 거제지역정당(더불어민주당,민주평화당·정의당·민중당·노동당), 경남미래발전연구소, 노무현재단거제지회, 삼성중공업일반노동조합, 거제인문학당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우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강제징용에 대해 망언을 일삼고, 군국주의 부활 기도와 작금의 경제보복 등 한국민들을 협박하고 있는 일본과 아베정권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입을 모았다.
대법원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판결을 구실삼아 일본정부가 경제보복 조치라는 무모한 도발을 감행하면서 국민들의 분노가 날로 치솟고 있다.
일본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두고 냄비근성이니 정치적 의도로 민족주의를 부추기느니 하는 주장이 있고, 대놓고 일본의 입장에 서서 우리 정부와 여당을 비난하는데 열을 올리는 정당과 언론도 있다.
지난 2005년 <한일회담 문서공개 후속대책 관련 민관공동위원회>를 통해 정리한 당시 우리 정부의 입장을 근거로, 현 정부의 입장과 대법원의 판단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고, 불매운동에 동의하지 않으면 반역자로 매도하는 사회분위기에 우려를 제기할 수는 있다.
하지만 정부의 의도와 관계없이 자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대해 평가절하 하거나 잘못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결코 온당치 않다. 지금 끓어오르고 있는 대일 감정은 한 세기를 지나온 과정에서 누적된 민족적 통한의 발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일본정부는 해방 이후부터 지금까지 단 한번도 그 죄과를 인정하지 않았고, 오히려 적반하장의 태도로 일관해 왔다. 수많은 애국지사와 무고한 민간인을 학살하고, 강제징용으로 끌고가 침략전쟁의 방패막이로 삼았을 뿐만 아니라, 나이어린 소녀들을 속여 일본군 위안부로 삼는 천인공노할 만행을 저질렀지만, 사죄는 커녕 오히려 피해자들을 조롱하고 모욕하는 행태를 보여 왔다"고 했다.
이어 "작금에 우리가 경계해야 할 또 하나의 중대한 문제는, 일본이 줄곧 추진하고 있는 재무장화, 즉 군국주의 부활 기도이다. 독도를 둘러싼 영토분쟁과 강제징용, 위안부 문제 등으로 끊임없이 긴장을 조장하면서, 이번에 경제보복 이라는 도발까지 서슴지 않는 것은 일본의 재무장화와 개헌을 위한 의도가 그 속에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재무장화에 대한 근본적 대응방안은 자주국방력을 갖추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일시적 분노와 일본제품 불매운동 차원을 넘어 항시적, 근본적 대책이 강구되어야만 한다. 8·15 광복이후 74년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발목을 잡고 숨통을 조여왔던 핵심적인 문제가 바로 '친일청산'의 문제이다"고 강조했다.
100년전 거제 아주장터에서 3·1 만세운동에 분연히 동참했던 선조들의 정신을 이어 받아, 거제시민들은 지난 2014년 1월 17일 전국에서 세번째로, 장승포 바닷가 거제문화예술회관 정문 옆 소공원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한 바 있다. 이 행사에는 어린 학생부터 조선소 노동자를 포함한 수많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또한 올해에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입구 흥남철수작전기념비 소공원에 2011년 5월 27일 설치돼그동안 거제시민의 치욕이었던 친일반민족행위자 김백일 동상옆에 '김백일 친일행적 단죄비'를 3.1절 기념일에 건립했다.
이들은 일본 아베정부는 치졸한 경제보복을 즉각 중단하고 강제징용 배상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우리 국민에게 진심으로 사죄하라고 요구했다.
또 군국주의 정책을 철회하고 동북아와 세계 평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국회와 정부는 '친일반민족행위자 현양행위금지법'을 조속히 제정해 친일잔재를 시급히 청산하라고 촉구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거제지역 시민사회·노동·정당, 일본 아베정권 규탄
기사입력:2019-08-02 15:55:3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8.10 | ▲1.49 |
코스닥 | 722.20 | ▲4.96 |
코스피200 | 338.64 | ▼0.1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237,000 | ▲539,000 |
비트코인캐시 | 522,000 | ▼500 |
이더리움 | 2,667,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80 | ▼10 |
리플 | 3,209 | ▲12 |
이오스 | 1,007 | ▼13 |
퀀텀 | 3,191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299,000 | ▲496,000 |
이더리움 | 2,670,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560 | ▼30 |
메탈 | 1,218 | ▼6 |
리스크 | 792 | ▲2 |
리플 | 3,209 | ▲9 |
에이다 | 1,022 | ▲1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160,000 | ▲390,000 |
비트코인캐시 | 521,500 | ▼2,500 |
이더리움 | 2,667,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00 | ▼20 |
리플 | 3,210 | ▲11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