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경필 기자] 국민일보가 20일 빅데이터 분석업체 데이터앤리서치에 의뢰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처음으로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 집에서 만난 지난 4월 27일(이하 1차 회담)과 평양에서 2박3일의 회담 일정을 시작한 지난 18일(이하 3차 회담)의 각 버즈량을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네이버·다음에서 수집해 분석한 결과, 남북 정상회담은 1차 회담에서 56만7214차례, 3차 회담에서 17만3973차례 언급됐다.
3차 회담의 버즈량은 1차 회담과 비교했을 때 3분의1 수준(30.7%)으로 줄었다. 문 대통령의 버즈량은 1차 회담에서 66만1014건, 3차 회담에서 19만7422건으로 집계됐다. 남북 정상회담의 버즈량과 비슷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버즈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키워드는 ‘김정은’이었다. 1차 회담에서 63만703건으로 집계됐던 김 위원장의 버즈량은 3차 회담에서 6만6930건으로 줄었다. 버즈량이 5개월 만에 89.4% 포인트나 감소한 셈이다.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관심 하락은 방송 시청률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처음 만나 악수를 나눈 순간으로 한정한 시청률은 1차 회담(4월 27일 오전 9시29분)에서 25.5%, 3차 회담(9월 18일 오전 10시9분)에서 22.3%로 각각 집계됐다. 3차 회담의 시청률은 1차 회담 때보다 3.2% 포인트 줄었다.
미디어 데이터 조사업체 TNMS가 지상파(KBS·MBC·SBS) 종합편성채널(TV조선·JTBC·채널A·MBN) 보도전문채널(YTN·연합뉴스TV) 등 남북 정상회담을 생중계한 방송사의 시청률을 합산한 결과다. 디지털·위성방송 수신 장치인 셋톱박스의 빅데이터가 시청률 집계에 이용됐다.
박인복 데이터앤리서치 대표는 “남북 정상 간 만남은 이제 국민에게 익숙한 장면이 됐다. 평화의 일상화는 긍정적 요소”라며 “다만 남북 정상회담이 정치적 행위로만 부각됐다는 의견을 버즈(SNS 타임라인과 인터넷 댓글)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필 기자 news@lawissue.co.kr
남북 평양정상회담, 국민적 관심 적어... 빅데이터 분석
기사입력:2018-09-20 17:14:1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251,000 | ▼515,000 |
비트코인캐시 | 572,000 | ▼3,500 |
이더리움 | 3,446,000 | ▼6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490 | ▼440 |
리플 | 3,283 | ▼43 |
이오스 | 1,265 | ▼7 |
퀀텀 | 3,469 | ▼5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160,000 | ▼564,000 |
이더리움 | 3,445,000 | ▼6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460 | ▼380 |
메탈 | 1,256 | ▼15 |
리스크 | 775 | ▼11 |
리플 | 3,282 | ▼44 |
에이다 | 1,101 | ▼17 |
스팀 | 220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250,000 | ▼490,000 |
비트코인캐시 | 570,500 | ▼4,000 |
이더리움 | 3,447,000 | ▼6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490 | ▼350 |
리플 | 3,284 | ▼41 |
퀀텀 | 3,481 | ▼36 |
이오타 | 335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