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ㆍ경찰청 “주차 차량 파손 시 연락처 남기기 의무화”

‘물피사고’ 조치의무 및 피수사자 방어권 강화 등 경찰민원 빈발 분야 제도개선 추진 기사입력:2014-12-12 14:44:23
[로이슈=김진호 기자] 앞으로 운전을 하다가 주차된 차량이나 타인의 재물을 파손하는 경우 반드시 연락처를 남기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현행 ‘도로교통법’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인명피해 및 교통장해에 대한 조치위주로, 물적피해 사고는 조치의무가 불명확해 그냥 가버리는 경우가 빈번했다.

따라서 물적피해 사고 후 가해차량 운전자가 이름, 연락처 등 인적사항을 제공하도록 의무화하고, 고의로 도주하는 경우 도주행위에 대한 제재를 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물적피해 사고는 인명피해가 없는 단순한 충돌ㆍ접촉 등으로 타인의 건조물 또는 재물을 손괴한 교통사고를 말한다.

이러한 제도개선은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이성보)와 경찰청(청장 강신명)이 기관협업으로 경찰업무 수행과정에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분야(교통ㆍ수사분야)의 과제를 공동으로 발굴, 개선하기로 한 것에 따른 것이다.

물적피해 사고 외에도 교통분야 개선 추진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통사고 처리 및 이의제기에 대한 진행상황 통지를 보다 강화해 사건진행상황 통지 시기 및 방식을 당사자에게 사전고지하고, 단계별 진행상황 통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해당 사건의 전산처리가 진행될 수 없도록 교통경찰업무관리시스템(TCS)을 개선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교통범칙금 조회시스템에서도 지자체 담당부서 및 연락처 등을 곧바로 알 수 있도록 전산시스템을 연계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수사분야는 피수사자의 기본권 및 방어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현재 모호하게 규정돼 있는 수사사건에 대한 공보제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피수사자의 신원과 사생활이 보호되도록 했다.

그리고 불공정 수사 시, 피수사자가 수사관 교체를 요청할 수 있는 ‘수사관 교체요청 제도’와 관련해 경찰청 신고민원포털에 관련지침 및 기준ㆍ절차 등을 공개해 교체 요청의 수용여부를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03 ▲26.26
코스닥 799.37 ▼1.10
코스피200 432.49 ▲4.4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393,000 ▼1,085,000
비트코인캐시 703,500 ▼1,000
이더리움 4,155,000 ▲38,000
이더리움클래식 25,950 ▲300
리플 4,072 ▲41
퀀텀 3,170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359,000 ▼1,063,000
이더리움 4,147,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5,890 ▲250
메탈 1,086 ▲3
리스크 608 ▲2
리플 4,079 ▲51
에이다 1,033 ▲10
스팀 20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390,000 ▼1,080,000
비트코인캐시 703,500 ▲500
이더리움 4,151,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25,960 ▲240
리플 4,054 ▲24
퀀텀 3,150 ▼35
이오타 306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