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삼다수 RE:Born’ 생산으로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추진

기사입력:2022-02-07 14:21:38
[로이슈 편도욱 기자] 페트병 내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가 예고된 가운데, 이르면 연내 지속적인 재활용이 가능한 재생 페트병에 담긴 제주삼다수를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

제주삼다수를 생산, 판매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사장 김정학)가 상업용으로 적합한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를 적용한 ‘제주삼다수 RE:Born(가칭)’의 생산 체계를 구축해 2만여 병을 생산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는 수거한 투명 페트병을 화학반응으로 분해해 회수된 원료로 만들어진 페트(PET)다. 반복적으로 재활용해도 식품 접촉 용기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어, 페트병을 다시 페트병으로 사용하는 보틀 투 보틀(Bottle to Bottle) 형태로 플라스틱 자원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으로 손꼽힌다.

현재 식품위생법*상 식품 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원료의 대량 공급 체계가 갖춰지는 대로 상품화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 식품위생법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제주 삼다수는 지난해 10월 국내 최초로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적용 제품인 ‘제주삼다수 RE:Born(가칭)’을 개발, 친환경 생수병 라인업 구축을 완료했다. 이후 환경부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을 통해 수질 및 용출테스트를 진행, 생수 용기로서의 안전성과 적합성을 인정받았다

‘제주삼다수 RE:Born(가칭)’ 제품의 페트는 SK케미칼의 ‘스카이펫(SKYPET)-CR’을 30% 사용했으며, 양사가 공동개발했다. 향후 공동 연구를 통해 재생 원료의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제주개발공사는 앞으로 ‘제주삼다수 RE:Born(가칭)’을 활용해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내 삼다수 체험관에서 어린이들의 친환경 교육 및 홍보를 할 예정이다.

김정학 제주개발공사 사장은 “불확실성이 높아진 현재, 지속가능성이 경영의 기준이 되고 있으며, ‘환경 경영’은 지속가능성의 핵심축이자 기업의 필수 과제”라면서, “원료 공급 및 생산의 안정화를 거치는 대로 상용화해 친환경 라이프를 지향하는 고객들께 선보이고, ‘한국형(K)-순환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개발공사는 친환경 경영 비전인 ‘그린 홀 프로세스(Green Whole Process)’에 따라 ▲친환경 제품 생산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224,000 ▼41,000
비트코인캐시 660,000 ▲3,500
이더리움 3,397,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2,090 ▼210
리플 3,018 ▼9
퀀텀 2,650 ▼3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310,000 ▼3,000
이더리움 3,401,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2,120 ▼170
메탈 913 ▼2
리스크 511 ▼3
리플 3,020 ▼5
에이다 776 ▼7
스팀 17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23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660,500 ▲4,000
이더리움 3,400,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2,130 ▼120
리플 3,020 ▼8
퀀텀 2,658 ▼21
이오타 209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