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신개념 ESS 도입한다

기사입력:2017-12-05 22:15:55
[로이슈 김영삼 기자]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출력 변동성이 큰 신재생 전원의 확대와 송전선로 및 변전소 건설이 어려워짐에 따라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신개념 에너지저장시스템(KEPCO Grid Energy Storage System, 이하 KG-ESS)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KG-ESS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개선하는 계통안정화용 ESS를 의미하며, 계통주파수조정을 위해 기 설치된 ESS를 포함해 지금 한전에서 세계최초로 개발 중인 과도안정도와 전압안정도 개선용 ESS를 총칭해서 말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신재생전원으로 대체하는 에너지정책을 수립 중이며, 이중 출력의 변동성이 큰 풍력・태양광발전은 전체 신재생전원 설비용량의 약 80%로, 대규모의 변동성 전원을 전력계통에서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계통안정화용 ESS의 필요성이 증대될 전망이다.

동해안과 서해안의 발전력 및 수도권의 부하 집중심화와 더불어 송전선로 건설 지연은 광역정전 발생 우려 및 발전제약 등 계통안정도 확보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 수단으로 전력계통 안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KG-ESS가 활용될 전망이다,

한전은 KG-ESS를 체계적으로 확대 적용하고, ESS 운영기술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송변전설비로 활용할 수 있는 ESS의 분야를 기능별로 세부분류하고, 과도 및 전압안정도 개선용 ESS에 관련된 지적재산권 확보(국내외 출원 5건 완료)를 추진했다.

추가로, 한전은 정부의 신재생 3020 비전에 발맞추어 2030년까지의 KG-ESS 중장기 로드맵 수립을 완료하고, 고가의 ESS의 활용성과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ESS 설비가 동시에 여러 가지 목적으로 해당 기능을 통합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을 고도화하고, 발전제약 완화용, 신재생 전원 변동성 대응용 등 용도를 다양화하여 국내 계통에 ESS 확대적용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김영삼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99,000 ▲67,000
비트코인캐시 668,000 ▲3,500
이더리움 3,44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50 ▼10
리플 3,033 ▲2
퀀텀 2,671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94,000 ▼106,000
이더리움 3,448,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60 ▲10
메탈 914 ▲1
리스크 513 ▲0
리플 3,035 ▲3
에이다 788 ▲1
스팀 17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2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666,000 0
이더리움 3,449,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2,350 0
리플 3,034 ▲3
퀀텀 2,647 0
이오타 21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