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종합식품기업 팔도가 신제품 '뿌요소다 젤리(이하 뿌요 젤리)'를 선보인다.
신제품은 ‘뿌요소다’ 특유의 소다맛을 구현한 젤리다. 젤리 겉면에 ‘사우어 파우더’를 뿌려 새콤한 맛을 살렸다. 쫄깃한 식감이 더해져 어린이 뿐만 아니라 2030 젊은 층의 간식으로도 제격이다. 뿌요소다 PET병 모양과 별 모양이 섞여 있어 골라먹는 재미도 있다.
패키지에는 자체 캐릭터를 적용했다. 지난 3월 진행한 공모전 대상 작품으로, 향후 뿌요 브랜드에 한해 적용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한편, 2020년 ‘뽀로로 과일맛 젤리’로 시장에 진출한 팔도는 신제품을 연이어 선보여 왔다. 21년 ‘잔망루피젤리’, 올해 출시한 ‘뽀로로 젤리 쁘띠’를 포함하면 젤리 라인업은 총 4종으로 늘어난다. 매출도 빠르게 신장했다. 23년 3분기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45% 신장했다.
팔도는 맛과 형태를 다양화한 신제품을 지속 선보이며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김동락 팔도 마케팅 담당은 "'뿌요소다 젤리'는 기존 뿌요소다를 즐겼던 고객뿐만 아니라 신 맛을 선호하는 마니아층도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제품이다"며 "시장이 커지며 다양한 맛과 제형의 젤리에 대한 니즈가 다양한 만큼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더 많은 신제품 출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공학한림원, 11월2일 서울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자율 주행’ 심포지엄 진행
동북아 지역의 기술 협력을 모색하는 한중일 공학 심포지엄이 자율주행을 주제로 한국에서 열린다.
한국공학한림원(회장 김기남)은 중국공정원 및 일본공학한림원과 함께 오는 11월 2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에서 제26회 한중일 공학한림원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중일 공학한림원 심포지엄은 올해 26회째를 맞는 행사로, 동북아 지역의 지속적인 경제 개발을 위한 3국 간의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과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매년 한중일을 돌며 개최된다.
올해는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for Future Mobility)’을 주제로 각국의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상호 협력체계를 모색한다. 자율주행은 관련 산업의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한중일 산업 구조의 유사성으로 지식 파급 효과가 큰 영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조계종 총무원 호법부장에 보은스님 임명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총무원 호법부장에 보운스님을 1일 임명했다.
보운스님은 해경스님을 은사로 1989년 수계(사미계)했으며 금정총림선원, 해인총림선원, 신흥사 무문관 향성선원 등에서 수행하며 20안거 이상을 성만(成滿)했다고 조계종은 전했다.
그는 백룡암, 법륜사, 금용암,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 주지를 지냈으며 총무원 기획실 감사국장, 총무원 호법부 호법국장, 제17대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생활경제 이슈] 팔도, ‘뿌요소다 젤리’ 출시 外
기사입력:2023-11-01 14:04:5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43.94 | ▲28.13 |
코스닥 | 716.48 | ▲5.22 |
코스피200 | 355.00 | ▲3.9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7,957,000 | ▼178,000 |
비트코인캐시 | 497,100 | ▲3,800 |
비트코인골드 | 161 | ▼128 |
이더리움 | 2,968,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700 | ▲30 |
리플 | 3,526 | ▼7 |
이오스 | 864 | ▲5 |
퀀텀 | 3,278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8,000,000 | ▼242,000 |
이더리움 | 2,97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730 | ▲30 |
메탈 | 1,163 | ▼2 |
리스크 | 862 | ▲3 |
리플 | 3,530 | ▼5 |
에이다 | 1,081 | ▲1 |
스팀 | 209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8,030,000 | ▼130,000 |
비트코인캐시 | 498,000 | ▲4,500 |
비트코인골드 | 260 | ▼285 |
이더리움 | 2,969,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730 | ▲60 |
리플 | 3,526 | ▼9 |
퀀텀 | 3,290 | ▲6 |
이오타 | 2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