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해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최근 10년 새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2022년 시작된 불황으로 분양이 줄어든 여파다. 특히 부산과 세종, 광주는 2022년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8만7432가구로 예정돼 있다. 33만6199가구가 입주한 2022년 대비 약 15%에 달하는 4만8767가구가 줄어든 수치다. 2022년부터 부동산 시장이 주춤하면서 새 아파트 분양이 줄어들기 시작한 것이 올해 입주 가뭄으로 이어진 것이다.
시도 별로 보면 총 7개 지역에서 입주 물량이 감소한다. 광주는 2022년 1만3716가구에서 올해 4820가구로 약 65%가 감소할 예정이며 부산은 같은 기간 2만7077가구에서 1만1418가구로 58%가 감소한다. 세종도 3793가구에서 1840가구로 51% 감소 예정이다. 50% 이상의 감소율을 기록한 곳은 이들 세 지역뿐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경기(-3만9813가구)와 인천(-2만477가구)이 가장 많이 감소할 예정이며 부산은 1만5659가구가 줄어들어 가구 수 기준 감소 순위에서도 상위 3개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제주는 132가구에서 1493가구로 10배 이상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경남과 경북도 각각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1만8960가구가 증가하는 서울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국적 입주 가뭄이 앞으로도 2~3년 이상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2022년부터 올해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분양물량 감소를 고려하면 입주물량도 수년째 큰 폭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경기와 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부산의 물량 감소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 전문가는 “부동산 침체의 영향이 아직 이어지고 있다곤 하지만 아파트 매매량은 2022년 이후 전국 거의 모든 지역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주택 수요층이 충분히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이처럼 수요가 충분한데 새 아파트 입주는 올해부터 수년간 기록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새 아파트 품귀 현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새 아파트 희소성이 빠르게 높아질 것으로 보이면서 수요자들의 발걸음이 바빠질 전망이다.
롯데건설은 이달 부산도시철도 2호선 가야역 바로 앞 초역세권 단지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을 분양한다. 아파트 전용 59~84㎡ 725세대, 오피스텔 전용 52~69㎡ 80실 등 총 805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가야역을 통해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롯데면세점, 전포카페거리, 메디컬스트리트 등 전국구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서면을 비롯해 문현금융단지, 광안리, 해운대 등 주요 지역으로의 편리한 이동여건을 갖추고 있다.
롯데건설이 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에 위치한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를 분양 중이다. 지하 2층~지상 33층, 10개동, 전용면적 59~120㎡, 총 952가구 규모 조성된다. 이에 걸맞게 단지는 대전 최초로 스카이라운지 및 스카이게스트하우스가 도입되며, 전 세대 세대창고 등도 적용돼 지역 최고 수준의 커뮤니티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일대에서는 효성중공업이 ‘해링턴 플레이스 풍무’를 분양 중이다. ‘해링턴 플레이스 풍무’는 지하 3층~지상 최고 29층, 총 18개동, 전용 59~84㎡, 176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1573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며, 7월 14일 특별공급, 15일 1순위 청약 접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아파트 입주 물량 10년새 최저…‘부산·세종·광주’ 3년새 반토막
기사입력:2025-07-14 15:06:3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2.03 | ▲26.26 |
코스닥 | 799.37 | ▼1.10 |
코스피200 | 432.49 | ▲4.4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4,230,000 | ▼1,170,000 |
비트코인캐시 | 689,500 | ▼4,500 |
이더리움 | 4,123,000 | ▼2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500 | ▼190 |
리플 | 4,060 | ▼8 |
퀀텀 | 3,106 | ▼3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4,324,000 | ▼716,000 |
이더리움 | 4,121,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500 | ▼170 |
메탈 | 1,068 | ▼17 |
리스크 | 598 | ▼5 |
리플 | 4,054 | ▼6 |
에이다 | 1,011 | ▼12 |
스팀 | 19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4,280,000 | ▼1,160,000 |
비트코인캐시 | 690,500 | ▼4,000 |
이더리움 | 4,121,000 | ▼2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490 | ▼140 |
리플 | 4,059 | ▼11 |
퀀텀 | 3,142 | 0 |
이오타 | 304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