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돌봄SOS 서비스' 제공기관과 신규 협약 체결

기사입력:2025-04-04 17:08:58
돌봄SOS 안내문

돌봄SOS 안내문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한정아 기자] 중구는 올해 ‘돌봄SOS 서비스’ 제공기관 2곳과 신규 협약을 체결하고, 기존 제공기관 6곳과도 재협약을 추진하며 총 14개 기관과의 돌봄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돌봄SOS 서비스’는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 또는 돌봄 공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 주민들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일시재가(가정을 방문하여 일상생활 지원) △동행지원(필수적인 외출 활동 지원) △식사배달(기본적 식생활 유지를 위한 도시락 배달) △단기시설 이용(단기간 시설 입소) △주거편의(가정 내 간단한 수리·보수·청소·방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신규 협약한 기관은 △스마일재가노인복지센터(약수동, 장기요양기관) △뉴던주식회사(숭인동, 주거편의 제공기관) 등 2곳이다.

또한 △복지플러스 재가노인복지센터(중림동) △소망재가노인복지센터(필동) △포시즌 재가복지센터(황학동) △비지팅엔젤스 서울중구방문요양지점(청구동) △안토 재가복지센터(다산동) △봄날 재가복지센터(광희동) 등 6개 기관과 재협약을 완료했다.

여기에 기존 6개 기관*도 서비스 제공을 이어가며 올해 총 14개 기관이 돌봄SOS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정복지사랑보살핌(다산동) △새생명재가노인복지센터(청구동) △중구행복돌봄센터(신당5동) △중구스마트집수리협동조합(필동) △요리를통한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회현동) △홍릉단기보호센터(제기동)

구는 협약에 앞서 현장 실사와 체계적인 평가를 통해 서비스 수행 역량을 면밀히 검증했다. 신규 기관은 ‘기본 수행능력’은 물론 ‘인력 운영’, ‘안전관리’, ‘품질 관리’, ‘사업 협업’ 등 5개 영역에 걸쳐 심사를 진행했고, 기존 기관은 돌봄매니저 설문 등을 추가해 성과 및 운영 역량에 대한 평가를 거쳤다.

이와 함께 구는 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병원과의 연계 체계도 구축했다. 신당동 ‘참바로병원’과 다산동 ‘반도정형외과’와 협력해 퇴원 전 병원에서 바로 돌봄서비스를 의뢰할 수 있도록 한 것. 이를 통해 퇴원 후 돌봄 공백 없이 서비스가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했다.

지난해 중구에서 돌봄SOS 서비스를 이용한 대상자는 총 797명, 누적 지원 건수는 1,624건에 달했다. 기존에는 만50세 이상의 중장년 또는 장애인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으나 올해부터는 ‘돌봄이 필요한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대상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

한정아 기자 지방자치 정책팀 hja@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23.63 ▲2.27
코스닥 723.47 ▼9.76
코스피200 350.22 ▲1.0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666,000 ▲89,000
비트코인캐시 566,000 0
이더리움 3,62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7,060 ▲20
리플 3,380 ▲14
이오스 1,129 ▲8
퀀텀 3,405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699,000 ▲139,000
이더리움 3,62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7,050 ▲40
메탈 1,213 ▼2
리스크 765 ▲4
리플 3,382 ▲19
에이다 1,097 ▲1
스팀 21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75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566,500 ▲1,000
이더리움 3,625,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7,020 ▼10
리플 3,380 ▲15
퀀텀 3,404 ▲13
이오타 31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