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병훈 의원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가능한 병원 겨우 9곳”

기사입력:2024-09-19 22:26:42
소병훈 (오른쪽)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소병훈 (오른쪽) 국회의원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이상욱 기자] 중증 응급질환으로 구분되는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가 가능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곳 가운데 고작해야 9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경기 광주시갑)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응급질환 27종 가운데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은) 평시에도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개소 중 15개소만 진료가 가능할 정도로 대단히 부족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지난 11일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실 종합상황판에는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 가능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는 180개소 중 13곳·중증 응급환자를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개소 중 9곳만 진료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달 4일 정부는 의료 인력이 시급한 의료기관 5곳에 8차 대체인력 (공보의·군의관) 250명 중 15명을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인력은 8일부터 파견하기 시작했다. 또한 이달 25일까지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운영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진찰료를 평소 대비 3.5배 인상키로 결정했다.

한편 소병훈 의원은 “연휴 기간엔 평소보다 응급환자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며 “하지만 의료대란 속에 아이들과 중증화상 환자들이 진료 받을 수 있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기껏해야 2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는 현재 심각한 위기 상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08.42 ▲1.09
코스닥 731.88 ▲6.48
코스피200 347.17 ▲0.9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491,000 ▼103,000
비트코인캐시 580,500 ▲500
이더리움 3,752,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9,240 ▲220
리플 3,618 ▼2
이오스 1,248 ▼4
퀀텀 3,63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343,000 ▼89,000
이더리움 3,743,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9,210 ▲270
메탈 1,294 ▲5
리스크 822 ▲4
리플 3,613 ▼4
에이다 1,161 ▼3
스팀 22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6,44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580,500 ▲500
이더리움 3,753,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9,220 ▲200
리플 3,616 ▼5
퀀텀 3,627 ▲19
이오타 338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