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중증 응급질환으로 구분되는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가 가능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곳 가운데 고작해야 9곳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보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경기 광주시갑) 국회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응급질환 27종 가운데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은) 평시에도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개소 중 15개소만 진료가 가능할 정도로 대단히 부족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지난 11일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실 종합상황판에는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 가능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는 180개소 중 13곳·중증 응급환자를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개소 중 9곳만 진료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달 4일 정부는 의료 인력이 시급한 의료기관 5곳에 8차 대체인력 (공보의·군의관) 250명 중 15명을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인력은 8일부터 파견하기 시작했다. 또한 이달 25일까지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운영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진찰료를 평소 대비 3.5배 인상키로 결정했다.
한편 소병훈 의원은 “연휴 기간엔 평소보다 응급환자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며 “하지만 의료대란 속에 아이들과 중증화상 환자들이 진료 받을 수 있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기껏해야 2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부는 현재 심각한 위기 상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촉구했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소병훈 의원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가능한 병원 겨우 9곳”
기사입력:2024-09-19 22:26: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3.74 | ▲18.79 |
코스닥 | 790.36 | ▲6.12 |
코스피200 | 422.02 | ▲0.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575,000 | ▲109,000 |
비트코인캐시 | 689,500 | ▼3,000 |
이더리움 | 3,616,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70 | ▲30 |
리플 | 3,241 | ▲8 |
퀀텀 | 2,788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464,000 | ▲15,000 |
이더리움 | 3,612,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50 | ▲60 |
메탈 | 953 | ▲2 |
리스크 | 544 | ▲1 |
리플 | 3,241 | ▲11 |
에이다 | 832 | ▲5 |
스팀 | 18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3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690,000 | ▼2,000 |
이더리움 | 3,615,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360 | ▲40 |
리플 | 3,243 | ▲8 |
퀀텀 | 2,785 | 0 |
이오타 | 22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