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이상욱 기자] 기술보증기금(기보)의 허위자료 제출기업 사전 차단을 위한 시스템 고도화 필요성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중위) 소속 양향자 의원(한국의희망‧광주 서구을)이 기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허위자료 제출기업에 나간 보증 금액은 96억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 회수치 못해 손실 처리된 금액은 약 39억원으로 손실률은 40%를 넘어섰다.
특히 보증 금액 회수 과정에서 17개의 기업 중 한 푼도 회수하지 못한 기업이 5곳으로 해당 기업들에 대한 손실 금액은 18억원이 넘었다.
기술보증제도는 기술력은 있지만 담보가 부족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지원하는 제도다. 하지만 기술보증기금이 허위자료를 사전 차단하지 못할 경우 보증이 필요한 기업에 자금을 지원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양향자 의원은 “허위자료 제출 적발에 평균 2년 6개월이 소요되고 있다”며 “꼭 필요한 기업에 자금이 지원되도록 허위자료 제출 기업의 사전 차단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사전 차단 시스템 고도화와 손실률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기보에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상욱 로이슈(lawissue) 기자 wsl0394@daum.net
기술보증기금, 감쪽같이 속아 96억 보증해 39억 까먹었다
- 17개 기업 중 전액 회수 못한 기업 5곳 손실 금액 18억 넘어- 양향자 의원 “사전 차단 시스템 고도화로 손실률 줄일 방안 마련해야” 기사입력:2023-10-22 14:24: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21.36 | ▼19.21 |
코스닥 | 733.23 | ▼5.82 |
코스피200 | 349.16 | ▼2.6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115,000 | ▲174,000 |
비트코인캐시 | 556,000 | ▼2,500 |
이더리움 | 3,582,000 | ▼1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660 | ▼40 |
리플 | 3,341 | ▼46 |
이오스 | 1,101 | ▼5 |
퀀텀 | 3,365 | ▼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30,000 | ▲131,000 |
이더리움 | 3,580,000 | ▼1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650 | ▼20 |
메탈 | 1,203 | ▼4 |
리스크 | 754 | ▼2 |
리플 | 3,341 | ▼36 |
에이다 | 1,071 | ▼4 |
스팀 | 212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160,000 | ▲300,000 |
비트코인캐시 | 557,500 | ▼1,000 |
이더리움 | 3,582,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650 | ▼40 |
리플 | 3,342 | ▼45 |
퀀텀 | 3,389 | 0 |
이오타 | 313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