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이슈] 위니아, 2024년형 딤채 신제품 출시 外

기사입력:2023-08-31 14:13:21
[로이슈 편도욱 기자] 위니아(대표 김혁표)가 소비자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편리성을 극대화 시켜 사용 확장성을 높인 2024년형 ‘딤채’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24년 연속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Korea Brand Power Index) 1위의 신뢰를 이어가고 있는 딤채는 기존 ±0.1℃ 초정밀 정온기술과 저장고 자체를 직접 냉각하는 방식의 오리지널 땅속냉각 및 탑쿨링 시스템에 더해 사용자가 딤채를 보다 편리하고 다채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 저장고로서 확장성을 극대화 했다.

특히 새롭게 적용된 ‘고메 팬트리’는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식재료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개발한 2024년형 딤채의 핵심 기능으로, 사용자가 딤채를 보다 편리하고 다채롭게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저장고로써 확장성을 극대화 했다.

고메 팬트리는 스탠드형 467L모델의 중실 서랍에 김치 이외 다양한 식재료 보관을 원하는 소비자 니즈에 따라 새롭게 적용됐으며 채소, 과일, 밀키트 등을 편리하게 보관 할 수 있는 무빙 ‘고메트레이’ 와 다양한 음료 및 주류 등을 편리하게 수납 가능한 ‘고메포켓’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식재료를 함께 보관해도 냄새가 섞이지 않도록 청정 탈취 기능도 강화했다.

고메 팬트리와 함께 원터치 올인원(All-in-One) 모드인 ‘고메보관 모드’도 새롭게 적용됐다. 고메보관를 사용하면 김치뿐만 아니라 채소, 과일, 밀키트, 계란, 육류, 생선 등의 다양한 식재료를 한꺼번에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 할 수 있다. 위니아는 고메팬트리와 고메모드로 김치냉장고 본연에 기능을 넘어 멀티 저장 냉장고로서 보관 활용성을 높여 소비자 사용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4년형 딤채는 29년간의 노하우와 독보적인 발효과학 기술로 ‘비건김치 숙성모드’도 적용됐다. 비건김치 숙성모드는 식물성 재료만을 사용해 만든 비건김치를 최적의 숙성 알고리즘으로 맛있게 익혀 비건 및 채식주의자들도 맛있는 김치를 오랫동안 보관해 먹을 수 있도록 개발된 딤채만의 새로운 숙성 알고리즘 기술이다.

또한 최신 식문화 트랜드를 반영하여 국내 최초로 ‘샐러드 보관’ 모드와 ‘밀키트 보관 모드’ 도 새롭게 적용했으며, 홈술, 홈메이드를 즐기는 소비자를 위해 막걸리와 과일청을 직접 만들어 보관까지 가능한 발효숙성 모드도 적용됐다.

최신 컬러 트랜드를 반영해 딤채만의 디자인적 요소도 강화했다. 우선, 외관의 색상 및 소재를 다양화해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극대화했다. 은은한 광택에 세련되고 화사한 스타 글라스, 마이크로엠보 입체 패턴을 적용해 자연스러운 질감이 특징인 브릭 글라스까지 딤채만의 독창적인 디자인 요소를 가미했다.

2024년형 ‘딤채’는 총130종으로 스탠드형 71종 출하가 500~240만원대, 뚜껑형 47종 출하가는 180~80만원대, 1도어 12종 출하가는 110~90만원대다.

위니아 김혁표 대표는 ”2024년형 딤채는 변화하는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및 니즈를 반영해 김치 숙성과 저장이라는 본연의 기능은 물론 다채로운 식재료를 맞춤으로 보관하는 멀티 저장의 기능을 최대한 높인 제품이다”라며, “김치냉장고1위 브랜드로서, 브랜드 가치를 더욱 공고히 해 소비자의 신뢰를 계속 이어가겠다 ”고 말했다.

◆온다, 숙박 트렌드 리포트 발표…해외 OTA, 포털 강세

국내 숙박 시장이 해외 여행의 본격적인 재개로 성장세가 다소 누그러졌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것과는 온도차가 느껴진다.

31일 호스피탈리티 테크 기업 온다(ONDA)가 발표한 ‘2023 상반기 호스피탈리티 데이터 &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숙박업체의 온라인 매출액은 2022년 대비 27% 증가했다.

이는 2021년 대비 2022년 성장률 100%보다 73%p 떨어진 수치지만, 해외 여행 폭증으로 급격히 위축될 거라는 예상에 비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대부분의 숙박업 지표가 상승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상반기에는 온라인 판매채널, 업종, 지역별로 명암이 갈렸다.

지난 몇 년간 국내 여행 수요 증가로 급성장했던 국내 OTA의 2023년 상반기 숙박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했다. 반면 올해 상반기 해외 OTA와 포털의 매출액은 지난해 대비 각각 79%, 50% 증가했다. 포털은 2022년 매출액 성장률 1위를 차지한 것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높은 성장을 이어갔다.

◆앤시스코리아, LG사이언스파크와 스타트업 육성 업무협약(MOU) 체결

앤시스코리아는 오늘, LG그룹의 R&D 허브인 LG사이언스파크(대표 박일평)와 유망 스타트업 발굴과 육성 지원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LG가 육성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솔루션 제공, ▲제품 개발 기술 교육 지원 및 사업화 추진을 위한 컨설팅 및 자문 제공, ▲R&D 지원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 진행, ▲국내외 시장 진출 및 현지화 지원 ▲기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에서 도출한 성공 노하우 공유 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LG사이언스파크는 LG 계열사에 앤시스가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소개함은 물론, LG사이언스파크가 지원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과 포트폴리오 다양화, 글로벌 비즈니스를 위한 경쟁력 강화 등에 힘쓸 수 있도록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앤시스의 시뮬레이션 기반 제품 개발 환경 제공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3.74 ▲18.79
코스닥 790.36 ▲6.12
코스피200 422.02 ▲0.8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488,000 ▲73,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2,000
이더리움 3,726,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3,970 ▲100
리플 3,266 ▲22
퀀텀 2,902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485,000 ▲146,000
이더리움 3,72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3,950 ▲80
메탈 966 ▲2
리스크 555 ▲3
리플 3,262 ▲21
에이다 842 ▲2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51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4,000
이더리움 3,725,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000 ▲100
리플 3,265 ▲20
퀀텀 2,900 ▼10
이오타 234 ▲3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