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국내 장거리 대표 교통수단 KTX가 오는 4월 1일 개통 19주년을 맞는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지난 2004년 세계 5번째로 개통한 고속열차 KTX는 19년 동안 9억6000만명을 싣고, 전국 8개 노선을 누비며 지구둘레(4만km) 1만5000바퀴와 맞먹는 5억9000만km를 달렸다. 5000만 국민 수로 나누면 한 사람당 19번 이상 KTX를 탄 셈이다. 모든 이용객이 이동한 누적 운행거리는 2400억km에 달한다.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1억5000만㎞)의 1620배가 넘는다.
코레일은 2004년 경부선(서울~부산)과 호남선(용산~목포) 운행을 시작으로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전국 각지로 넓혀왔다.
개통 첫해 경부, 호남 2개 노선 20개역에만 다니던 KTX는 2023년 현재 전국 8개 노선의 67개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루 운행횟수는 주말 기준 364회(KTX 284회, KTX-이음 80회)로, 개통 초기 132회에 비해 세 배 가까이 늘었다. 하루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은 서울역(9만2000명)으로, 2004년 대비 약 2.7배 늘었다.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역은 천안아산역으로, 약 6.2배 증가한 2만2000명이 이용한다.
특히 전체 철도 이용객 중 고속열차 이용객 수를 살펴보면 2004년에는 18%만 KTX를 이용했는데, 해마다 비율이 늘어나 2014년은 42%, 2022년은 60%에 육박했다. 국민 10명 중 6명이 KTX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철도 서비스도 시대상의 변화에 발맞춰 진화해왔다. 코레일은 앱 다운로드수 1100만 이상을 기록 중인 국민앱 ‘코레일톡’을 중심으로 모바일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코레일톡 등 비대면·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열차 승차권 자가발권 비율은 2022년 기준 88.2%에 달한다. 10명 중 8명은 코레일톡에서 승차권을 구입(80.9%)하고 있다. 역창구 발권비율이 85%였던 2004년과는 정반대의 결과다.
나아가 코레일은 지난 2018년부터 열차와 연계 교통, 여행콘텐츠를 한번에 예약하는 ‘지능형 철도교통 통합서비스(Raas)’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코레일톡에서 렌터카, 숙박, 관광지 입장권 등을 함께 예약할 수 있는 모바일 통합여행 플랫폼을 구축했다.
최근에는 놀이공원·박물관 입장권이나 패러글라이딩 체험권 등을 추가하고 항공권과 공항철도 티켓을 열차 승차권과 한장으로 결합 발권하는 등 콘텐츠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 네이버나 카카오 등 포털사이트에 승차권 발매 기능을 오픈하고, ‘철도역 짐 배송 서비스’를 추진하는 등 민간플랫폼과 협업으로 기차여행 편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한편 코레일은 KTX의 19살 생일을 맞아 사은 이벤트를 준비했다. 우선,개통 당일인 4월 1일에 KTX를 탄 코레일멤버십 회원 중 2004명을 추첨해 ‘KTX 운임 30%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또 4월 1일과 2일 주말 KTX를 이용한 코레일멤버십 회원 중 2004명에게 전국 철도역 매장 950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쿠폰 ‘코레일유통 5000원권’을 선물한다.
고준영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응원해주신 국민의 사랑과 성원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최고의 여행 파트너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KTX 개통 19주년, 9억명 싣고 지구 1만5000바퀴 돌았다
기사입력:2023-03-31 11:52: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3.74 | ▲18.79 |
코스닥 | 790.36 | ▲6.12 |
코스피200 | 422.02 | ▲0.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90,000 | ▼229,000 |
비트코인캐시 | 688,000 | ▼3,000 |
이더리움 | 3,621,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40 | ▼30 |
리플 | 3,242 | ▼5 |
퀀텀 | 2,792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749,000 | ▼204,000 |
이더리움 | 3,618,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30 | 0 |
메탈 | 950 | ▼0 |
리스크 | 546 | ▲0 |
리플 | 3,240 | ▼5 |
에이다 | 828 | ▼3 |
스팀 | 18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760,000 | ▼220,000 |
비트코인캐시 | 686,000 | ▼5,000 |
이더리움 | 3,625,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550 | ▲80 |
리플 | 3,242 | ▼7 |
퀀텀 | 2,785 | 0 |
이오타 | 22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