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는 2023년 계묘년을 맞아 2일 나주 본사에서 새해 첫 출발을 알리는 시무식을 개최했다.
김춘진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불확실성의 터널을 빠져나와 토끼처럼 지혜롭고 조화롭게 도약할 수 있는 한해를 만들기 위해, 주어진 기회 요인들을 잘 활용하고 체계적으로 준비해 위기 돌파의 동력을 만들어 내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지난해 농수산식품 수출은 계속된 코로나19와 물류대란에도 119억 8000만 달러를 달성하며 2021년 100억 달러를 초과한 이후 2년 연속 사상 최고 수출실적을 경신했다. 화훼공판장 경매실적도 1991년 개장 이래 최고실적인 1631억 원을 돌파했으며, 공공급식 등 농수산식품거래소 거래실적도 공공급식통합플랫폼 구축 및 군부대, 어린이집 등 신규이용자 확대 영향으로 역대 최고실적인 3조 8000억원을 달성했다.
김치 세계화를 위해 2021년 캘리포니아주를 시작으로 지난해 버지니아주, 뉴욕주, 수도 워싱턴D.C에서 김치의 날이 제정되는 데 앞장섰다. 현재 조지아주 등 4개 주와 미 연방의회 차원에서도 ‘김치의 날’ 제정을 선포・발의한 상태이며 이에 힘입어 대미 김치 수출실적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전국 34개 행정・교육 광역자치단체를 포함한 국내외 450여 기관과 ESG 업무협약을 체결해 저탄소 식생활 ‘그린푸드 데이’ 캠페인의 글로벌 확산에 힘쓰고 있다.
아울러 밀・콩 등 기초 곡물의 국내 자급기반 구축과 상시 비축량 확대 등을 통해 곡물수급 안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국민 식생활과 밀접한 배추・양파 등 주요 채소류에 대한 선제적 수매비축과 적기 방출을 통해 수급불안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농산물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농산물 유통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전통적인 도매시장 의존구조에서 벗어난 ‘농식품 온라인거래소’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입고부터 출하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기 위해 품목별 주산지에 ‘스마트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단계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빅데이터플랫폼’을 통한 농식품산업 정보 수집・거래・가공, 농넷의 가격예측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자 한다.
공사는 농수산식품 수출전담 기관으로 농수산식품 수출 100억 달러 시대를 넘어 1000억 달러 시대를 위해 준비해 나가고 있다. 농산물 수출물류비 폐지에 대응하여 수출통합조직, 수출유망기업 육성 등 경쟁력 강화로 수출경영체의 기초체력을 강화하고, 포도 등 수출전략품목을 발굴․육성해 시장성과 경쟁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온라인 한국식품관 운영 등 다각적인 온・오프라인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통해 K-푸드의 수요를 창출하고자 한다는 설명이다.
김 사장은 “농수산식품산업 강국 실현으로 국민에게 행복을 주는 공사가 되기 위해 올해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끊임 없는 공공・민간 혁신 노력과 철저한 내부통제로 국민의 눈높이와 요구에 부응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aT, 2023년 시무식 개최..."식량안보·유통 디지털 전환 등 농수산식품 강국 다짐"
기사입력:2023-01-02 23:45: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33.74 | ▲18.79 |
코스닥 | 790.36 | ▲6.12 |
코스피200 | 422.02 | ▲0.8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753,000 | ▼199,000 |
비트코인캐시 | 688,000 | ▼3,500 |
이더리움 | 3,621,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50 | ▲20 |
리플 | 3,242 | ▼1 |
퀀텀 | 2,792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780,000 | ▼178,000 |
이더리움 | 3,621,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30 | 0 |
메탈 | 950 | ▼0 |
리스크 | 546 | ▲0 |
리플 | 3,241 | 0 |
에이다 | 828 | ▼2 |
스팀 | 18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770,000 | ▼220,000 |
비트코인캐시 | 686,000 | ▼5,500 |
이더리움 | 3,625,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550 | ▲80 |
리플 | 3,242 | ▼3 |
퀀텀 | 2,785 | 0 |
이오타 | 22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