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올 한 해 다양한 콘텐츠 인재양성사업의 성과를 확인하는 ‘2022년 콘텐츠 인재양성사업 통합 성과발표회’를 오는 17~18일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홍릉 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콘진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 중심으로 개최되는 이번 성과발표회는 콘텐츠산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재 배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콘텐츠 인재양성 사업의 2022년 사업성과 및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올해 ‘창의DNA: 무경계 콘텐츠, 무한한 가능성’을 주제로,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콘텐츠원캠퍼스 구축운영 사업 ▲신기술 융합형 콘텐츠 프로젝트 기반 창작자 양성사업 ▲인공지능 연계 콘텐츠 창작자 양성사업 ▲OTT 콘텐츠 특성화 대학원 지원사업 등 5개 콘텐츠 인재양성 사업의 성과를 다룰 예정이다.
성과발표회는 ▲기수료생 초청 미니 토크쇼 ▲뮤지컬, 공연 등 교육생 창작 프로젝트의 쇼케이스 ▲우수 프로젝트 사례를 발표하는 라운드테이블 ▲사업별 우수 프로젝트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전시 및 체험존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우선 인재양성사업의 과거와 현재를 조명하기 위한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을 수료한 선배들과의 만남이 “함께하다: 콘텐츠 창작과 트렌드를 말하다”를 주제로 개최된다. 제56회 백상예술대상 작품상을 수상한 드라마 <스토브리그>의 이신화 작가, 2022년 안시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한 애니메이션 <태일이>의 홍준표 감독 등 콘텐츠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선배들의 경험담을 소개한다.
발표회 현장에는 ▲최형우, 신지혜 교육생의 창작 뮤지컬 <고스트? 게스트?> 쇼케이스 ▲인공지능 연계 콘텐츠 창작자 양성사업 교육생의 창작곡 음감회 등 공연이 마련되어 있으며, ▲콘텐츠원캠퍼스 구축운영 사업 라운드테이블에서는 대표 사례 발표와 함께 ‘콘텐츠 분야 융복합 인재양성 발전 방향 논의’가 진행된다. 이 밖에도 VR·AR, 음악, 시나리오, 영상 등 60여 개 사업별 우수 콘텐츠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전시 및 체험존이 운영된다.
▲올해 최고의 화제작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문지원 작가 ▲2022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극본상을 수상한 드라마 <소년심판>의 김민석 작가 ▲국내 최초 SF 드라마 <고요의 바다>의 최항용 감독 ▲<히든싱어7> 선미편 우승자 박진주 교육생 ▲드라마 <어게인 마이 라이프>, <소방서 옆 경찰서> OST를 작곡한 이윤정 교육생 등 기수료생은 물론 2022년 교육생들의 성과도 뚜렷하다는 설명이다.
콘진원 조현래 원장은 “이번 성과발표회는 콘텐츠 인재양성사업으로 인연이 된 선후배가 교류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창의 인재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는 자리”라며, “우수한 창의 인재들의 역량이 근간이 되어 지금의 K-콘텐츠 산업을 일궈낸 만큼, 앞으로도 세계가 공감하는 콘텐츠를 지속 생산하기 위한 현장 맞춤형 인재양성에 더욱 힘쓰겠다”고 전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콘진원, 2022 콘텐츠 인재양성사업 통합 성과발표회 개최
기사입력:2022-11-14 20:40: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37.91 | ▼2.66 |
코스닥 | 733.39 | ▼5.66 |
코스피200 | 351.86 | ▲0.7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20,000 | ▲147,000 |
비트코인캐시 | 568,000 | ▲500 |
이더리움 | 3,713,000 | ▲4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90 | ▲200 |
리플 | 3,606 | ▲6 |
이오스 | 1,126 | ▲2 |
퀀텀 | 3,541 | ▲3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25,000 | ▼46,000 |
이더리움 | 3,708,000 | ▲4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80 | ▲210 |
메탈 | 1,257 | ▲9 |
리스크 | 801 | ▲6 |
리플 | 3,609 | ▲8 |
에이다 | 1,136 | ▲9 |
스팀 | 22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6,00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568,000 | ▲500 |
이더리움 | 3,709,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50 | ▲310 |
리플 | 3,606 | ▲5 |
퀀텀 | 3,545 | 0 |
이오타 | 338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