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임산부의 날(10월 10일)이 ‘임산부 배려문화 확산과 임신·출산의 중요성 등 사회적 인식 제고에 도움되는지’에 대해 성인 10명 중 6명이 “도움이 안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식품 전문기업 아이배냇이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와 ‘임산부의 날’을 기념해 ‘임산부 정책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공동 진행했다. 이번 조사는 인크루트 성인 회원 795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5일부터 10일까지 엿새간 이뤄졌다.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48%p다.
임산부의 날은 임산부 배려문화를 확산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출산을 지원하는 한편 출산·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2005년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특히 ‘임산부의 날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59.1%가 “모른다”고 답했다. ‘임산부의 날이 임산부 배려문화 확산과 임신·출산의 중요성 등 사회적 인식 제고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58.6%가 “실질적인 도움이 안 된다”고 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3.1%, “도움된다”는 응답은 28.3%에 그쳤다.
‘우리나라 국민의 임산부 배려 인식 및 실천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63.4%가 “과거 대비 인식 수준은 높아졌으나, 실천 수준은 아직 부족한 것 같다”고 답했고, “인식과 실천 수준 모두 개선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27.4%에 달했다.“ 인식과 실천 수준 모두 높다”는 응답은 9.2%에 그쳤다.
현재 국내 임산부 복지 정책에 대해서는 △매우 만족(2.6%) △대체로 만족(32.6%) △대체로 불만(53.1%) △매우 불만(11.7%)으로 부정적인 응답이 64.8%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자 가운데 41.7%는 가장 불만족스러운 임산부 정책 또는 복지 혜택으로 ‘산후지원’을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절반 가량(47.5%) 역시 산후지원이 가장 개선돼야 할 ‘임산부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자들의 32.5%는 ‘건강관리지원’을 가장 실효적인 정책·혜택이라고 답했고, ‘산후지원’을 꼽은 비율도 30.7%에 달했다.
현재 시행 중인 임산부 정책의 활용 현황에 대한 설문에는 자녀가 있다고 응답한 314명 중 ‘국가바우처카드’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64.0%,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를 경험한 사람이 27.4%로 확인됐다.
지하철과 버스 내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시민의식에 대한 설문에는 △매우 잘 지켜짐(5.5%) △대체로 잘 지켜짐(45.4%) △대체로 안 지켜짐(34.5%) △전혀 안 지켜짐(14.6%)으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최근 서울시에서 육아부담 지원을 위해 ‘4촌 친인척 돌봄수당 및 바우처’를 신설·운영한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매우 도움될 것(11.7%) △대체로 도움될 것(53.1%) △대체로 도움 안 될 것(28.2%) △전혀 도움 안 될 것(7.0%)으로, 긍정적인 의견(64.8%)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유통이슈] “임산부의 날, 임산부 배려 등 실질적 도움 안된다” 58.6%
아이배냇, 인크루트와 ‘임산부 정책 만족도’ 설문조사 실시59.1% 임산부의 날 “모른다”…47.5% “산후지원 정책 개선” 기사입력:2022-10-14 13:10:0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63.02 | ▲8.74 |
코스닥 | 778.01 | ▲2.21 |
코스피200 | 413.68 | ▲0.9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573,000 | ▼193,000 |
비트코인캐시 | 677,500 | ▼500 |
이더리움 | 3,496,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60 | ▼110 |
리플 | 3,086 | ▼3 |
퀀텀 | 2,700 | ▼1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524,000 | ▼64,000 |
이더리움 | 3,495,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40 | ▼70 |
메탈 | 924 | ▼4 |
리스크 | 515 | ▼6 |
리플 | 3,085 | ▼2 |
에이다 | 797 | 0 |
스팀 | 174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660,000 | ▼110,000 |
비트코인캐시 | 678,000 | 0 |
이더리움 | 3,497,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70 | ▼90 |
리플 | 3,086 | ▼3 |
퀀텀 | 2,715 | 0 |
이오타 | 21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