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하나금융그룹은 2022년 2분기 8,251억원을 포함한 상반기 누적 연결당기순이익 1조 7,274억원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그룹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상반기 누적 1,846억원의 대규모 선제적 대손충당금을 적립했다. 선제적 대손충당금을 포함한 충당금 등 전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5.6%(2,168억원) 증가한 4,222억원으로, 2021년 연간 적립한 충당금 등 전입액 5,326억원 대비 약 80% 규모를 올해 상반기 중 인식함으로써 손실흡수능력을 한층 더 강화했다.
하나금융그룹 이사회는 15년간 이어온 중간배당 전통 계승과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 확대 등을 고려해 ▲우수한 자본여력 ▲견고한 수익 기반 유지 ▲안정적 자산건전성을 감안, 심도 있는 논의 끝에 주당 800원의 중간배당을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앞으로도 하나금융그룹은 주주들의 신뢰에 보답하고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배당 확대 및 자사주 매입, 소각 등 다양한 자본 활용 방안을 통한 주주환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소상공인과 금융취약계층 등 손님을 배려하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동반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룹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1분기 603억원에 이어 2분기에도 1,243억원의 선제적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했다.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에도 불구하고 그룹의 상반기 대손비용률(Credit Cost)은 0.23%로 연간 목표치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이례 요인을 제외한 대손비용률은 전년 동기와 동일한 0.12% 수준이다.
또한, 전사적인 건전성 관리 노력을 통해 양호한 자산건전성을 유지했다. 그룹의 2분기 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37%, NPL 커버리지비율은 전분기 대비 4.22%p 증가한 164.7%를 기록했다. 그룹의 2분기 말 연체율은 0.32%다.
그룹의 2분기 말 BIS비율, 보통주자본비율 추정치는 각각 15.86%, 13.18%로 양호한 수준의 자본적정성을 이어갔다.
주요 경영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08%, 총자산이익률(ROA)은 0.67%다.
그룹의 상반기 누적 연결당기순이익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한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비화폐성 환차손 발생, 1분기 중 실시한 특별퇴직 등 일회성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54억원) 감소했다.
그룹의 이자이익(4조 1,906억원)과 수수료이익(9,404억원)을 합한 핵심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6%(6,159억원) 증가한 5조 1,310억원을 시현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자산 증대와 외환 및 신용카드수수료 이익 증가에 힘입은 결과다.
이외에도 핵심저금리성예금의 평잔 증대 등 수익 포트폴리오 개선과 기술력이 높은 혁신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기술금융 지원 노력도 핵심이익 증가에 기여했다. 그룹의 2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80%다.
그룹의 상반기 일반관리비는 지난 1분기 특별퇴직 실시로 인한 일회성 비용 발생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1,962억원) 증가한 2조 2,112억원이다. 다만, 2분기 일반관리비는 전분기 대비 23.8%(2,991억원) 감소한 9,560억원이다.
그룹의 상반기 영업이익경비율(C/I Ratio)도 전분기 대비 4.4%p 감소한 45.3%를 기록했다. 그룹은 하반기에도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투자와 함께 안정적 비용관리가 지속될 수 있도록 전사적인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2분기 말 기준 신탁자산 156조 9,731억원을 포함한 그룹의 총자산은 707조 4,812억원이다.
▣ 하나은행
하나은행은 2022년 2분기 7,065억원을 포함한 상반기 누적 연결당기순이익 1조 3,736억원을 시현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6%(1,206억원) 증가한 수치로, 특별퇴직 비용 인식과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등 일회성 요인 발생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중심의 대출 자산 성장 및 핵심저금리성예금의 평잔 증대에 힘입은 결과다.
상반기 이자이익(3조 5,247억원)과 수수료이익(4,023억원)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2%(6,338억원) 증가한 3조 9,270억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2분기 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분기와 동일한 0.24%이며, NPL 커버리지비율은 전분기 대비 9.2%p 상승한 188.4%를 기록했다. 은행 연체율은 전분기와 동일한 0.16%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말 기준 신탁자산 74조 5,124억원을 포함한 하나은행의 총자산은 544조 2,543억원이다.
▣ 비은행 관계사
하나증권은 증시 거래대금 감소에 기인한 증권중개수수료 약세 등으로 인해 1,391억원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하나캐피탈은 리테일을 기반으로 한 수수료이익 등 일반영업이익의 증가에 힘입어 1,631억원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하나카드는 가맹점수수료 인하, 리스크 관리 목적의 선제적 고위험 대출자산 감축, 특별퇴직 실시에 따라 일반관리비가 증가했으나 2분기 중 수수료 이익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면서 1,187 억원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하나자산신탁은 501억원, 하나저축은행은 145억원, 하나생명은 109억원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을 각각 시현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하나금융그룹, 상반기 당기순이익 1조 7,274억원 시현
기사입력:2022-07-22 16:45:5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564,000 | ▲316,000 |
비트코인캐시 | 580,500 | ▼1,000 |
이더리움 | 3,302,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10 | ▲290 |
리플 | 3,327 | ▲23 |
이오스 | 1,345 | ▲46 |
퀀텀 | 3,543 | ▲2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447,000 | ▲277,000 |
이더리움 | 3,300,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10 | ▲250 |
메탈 | 1,274 | ▲7 |
리스크 | 775 | ▲7 |
리플 | 3,324 | ▲19 |
에이다 | 1,103 | ▲14 |
스팀 | 220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570,000 | ▲260,000 |
비트코인캐시 | 582,500 | ▲500 |
이더리움 | 3,301,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110 | ▲340 |
리플 | 3,328 | ▲24 |
퀀텀 | 3,528 | ▲24 |
이오타 | 284 | ▼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