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이 최근 발간한 첫 글로벌 ESG 보고서(Global Responsibility Report, GRR)를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더욱 강화하며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는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의 지난 ESG 활동 및 성과를 비롯해 앞으로 나아갈 추진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ESG 관련 핵심 전략 방향으로는 p글로벌 식량 공정성 문제 해결 p기업가 정신 강화 p다양성, 공정성, 포용성 촉진 p취약한 소수 커뮤니티 지원 p환경에 대한 책임 강화 이해 목표 설정 등이 포함되며 부문별로 이니셔티브를 선정해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특히, 뉴트리션 전문 기업으로서 글로벌 식량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허벌라이프 뉴트리션 재단(Herbalife Nutrition Foundation, HNF)을 중심으로 개개인의 삶과 지역 사회를 돕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로 헝거(Nutrition for Zero Hunger)’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기아 근절에도 기여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HNF의 사회공헌 프로그램 카사 허벌라이프 뉴트리션(Casa Herbalife Nutrition)을 통해 어린이재단을 비롯해 상록보육원, 대구 아동복지센터, 송파구 솔바람복지센터, 혜심원, 양준혁 야구재단 등 총 여섯 기관을 15년 넘게 후원을 하고 있다.
더 나아가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은 ESG 보고서를 통해 기업창립 50주년을 맞이하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5,000만 개의 긍정적 영향을 전 세계에 전파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은 2020년 다양한 ESG 활동을 전개하며 한 해 동안 지역 사회에 약 87만 4,000개의 자사 뉴트리션 제품을 기부하고, 가정과 지역 사회에 97만 5,000개의 식사를 전달하는 등 380만 개의 긍정적 효과를 창출한 바 있어 이를 고려하면 목표치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사회 실현이 화두인 가운데, 허벌라이프 뉴트리션 또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제로를 실현하고자 판매 및 유통 센터에서 비닐봉지를 퇴출하고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향후 2년에 걸쳐 전 세계에 공급되는 자사의 스테디셀러 ‘Formula 1 건강한 식사’ 패키징의 25%를 재활용 수지(PCR)로 전환하는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한국허벌라이프 정승욱 대표이사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 및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허벌라이프 뉴트리션은 이전부터 ESG 경영 체제를 발 빠르게 도입하며 많은 소비자의 마음과 신뢰를 얻을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국내에서 다양한 ESG 활동을 통해 지속 성장은 물론 기업 가치를 제고해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며 개인과 사회 모두 건강한 세상을 만들어가는 데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허벌라이프는 이처럼 체계적인 ESG 경영활동으로 기업 경쟁력 제고와 지속 가능한 사회 형성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제15회 국가지속가능경영 컨퍼런스’ 품질혁신상 대상과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대한상공회의소·포브스 사회공헌 대상’ 어린이복지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등 매년 다양한 수상을 이어오며 대표적인 지속 가능한 뉴트리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허벌라이프 뉴트리션, “ESG 경영 강화해 긍정적 영향 확대할 것”
기사입력:2022-01-12 10:17:0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054.28 | ▼61.99 |
코스닥 | 775.80 | ▼17.53 |
코스피200 | 412.74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92,000 | ▼513,000 |
비트코인캐시 | 671,500 | ▼1,500 |
이더리움 | 3,498,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80 | ▼200 |
리플 | 3,087 | ▼16 |
퀀텀 | 2,696 | ▼2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82,000 | ▼395,000 |
이더리움 | 3,499,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70 | ▼200 |
메탈 | 923 | ▼10 |
리스크 | 518 | ▼3 |
리플 | 3,083 | ▼18 |
에이다 | 797 | ▼8 |
스팀 | 17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460,000 | ▼420,000 |
비트코인캐시 | 674,000 | ▼1,500 |
이더리움 | 3,498,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60 | ▼230 |
리플 | 3,086 | ▼17 |
퀀텀 | 2,698 | ▲21 |
이오타 | 21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