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가전 이슈] 코웨이, 노블 정수기 빌트인 출시 外

기사입력:2021-10-29 10:32:25
[로이슈 편도욱 기자] ◆코웨이, 노블 정수기 빌트인 출시

코웨이(대표 이해선ㆍ서장원)가 공간과 위생 관리까지 정수기의 모든 기준을 완성한 프리미엄 디자인 정수기 ‘코웨이 노블 정수기 빌트인(CHP/CP-3140N)’을 출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코웨이 관계자는 "노블 브랜드의 첫 번째 정수기 제품인 ‘코웨이 노블 정수기 빌트인’은 정수기 본체가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제품으로 미니멀한 디자인과 완벽한 위생 케어, 스마트한 제품 관리가 특징이다"라며 "이 제품은 국내 정수기 최초로 출수부인 파우셋에 모션 기술을 적용해 완전한 빌트인을 완성했다. 평소에는 추출 파우셋이 제품 내부에 숨겨져 있고 사용 시에만 노출되는 스마트 모션 파우셋을 통해 간결하고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프리미엄 빌트인 정수기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전했다.

이어 "신제품 노블 정수기 빌트인은 제품 출수부만 외부에 설치돼 주방 공간을 더욱 넓고 편리하게 활용 할 수 있는 강점도 있다. 가로 5.6cm, 세로 8.9cm의 출수부는 좁은 주방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180도까지 회전이 가능해 원하는 어떤 방향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라며 "또한 정수기 본체의 가로폭이 16.4cm에 불과해 정수기가 설치된 싱크대 하부 공간도 여유롭게 활용 할 수 있게 했다. 해당 제품은 기존 빌트인 정수기의 설치 제약 거리를 대폭 개선해냈다. 수전으로부터 최장 25M까지 설치가 가능해 주방 어느 장소든 원하는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고 밝혔다.

코웨이 노블 정수기 빌트인은 혁신 기술을 통해 한층 강화된 위생 케어도 제공한다. 스마트 모션 파우셋 기술을 통해 평상시 파우셋의 외부 오염을 사전에 차단하는 동시에 UV 살균을 적용해 이중으로 케어한다. 또한 3일마다 전기 분해수를 생성해 파우셋부터 모든 유로를 알아서 케어하는 스마트 올케어 시스템을 통해 항상 새것과 같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

코웨이 관계자는 “코웨이 노블 정수기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노블 정수기 빌트인은 오랜 시간 소비자 사용 환경과 주방 공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빌트인 정수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 제품으로 프리미엄 정수기 시장의 새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과 만족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의 프리미엄 제품을 지속해 선보일 계획이다”고 말했다.


◆‘해리포터’ 영어판 오디오북, 스토리텔 글로벌 최다 스트리밍으로 선정

‘해리포터’ 시리즈가 세계 최대 오디오북 스트리밍 플랫폼 스토리텔(Storytel)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오디오북으로 선정됐다.

스토리텔에 따르면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영어판 오디오북은 최근 5년간 한국을 포함해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 등 총 25개국에서 최다 청취 순위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같은 기간 글로벌 기준 총 누적 청취 시간은 2,600만 시간에 달한다.

OSMU(One Source Multi Use)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해리포터’는 1997년에 처음 영국에서 소설로 출간된 이래 영화, 게임, 관광, 서비스, 제조업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유명하다. 해리포터는 상상력을 자극하는 마법 세계관과 탄탄한 스토리가 경쟁력으로 작용하며 오디오북 시장에서도 강력한 ‘킬러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다. 전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주인공 중심의 서사 구조 또한 ‘멀티태스킹’ 방식으로 소비되는 오디오북 콘텐츠에 적합하다.

박세령 스토리텔 한국 지사장은 “해리포터 시리즈는 세상에 나온 지 2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명실상부한 ‘파워 콘텐츠’로서 영향력을 지닌 작품이다”라며 “국내에서도 해리포터 한국어판 오디오북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요청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고객들의 수요를 반영해 한국에서도 한국어 버전의 해리포터 오디오북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라고 전했다.


◆'데이터 기본법' 국회 통과..데이터 산업 생태계 선도 기업 어디?

지난 9월 ‘데이터 기본법’이 국회 본회의에 통과되면서 데이터 산업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데이터 기본법이란, 민간의 데이터 생산, 거래, 활용과 관련된 산업을 활성화하고, 데이터 이용을 촉진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산업 곳곳에서도 데이터 융합 시대에 걸 맞는 신사업 확장에 힘을 쏟고 있는 모습이다. 이 추세는 업계의 성장과도 맥을 같이 한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1 4차 산업혁명 지표’에 따르면 데이터 산업의 시장 규모가 가파르게 성장해 19조원을 넘기면서 2019년 대비 14.3% 확대됐다고 밝혔다. 미래 보고로 떠오른 데이터 산업 생태계의 리더 기업들을 알아보자.

라이프시맨틱스는 의료 마이데이터, 디지털 치료제, 비대면 진료 등의 사업을 전개하며 질병을 예방, 관리하고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혁신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 회사의 핵심 기술은 ‘라이프레코드(LifeRecord)’에서 나온다. '라이프레코드’는 개인 건강 데이터의 생성 및 수집, 저장, 분석, 가치창출, 최적화 등 가치사슬의 단계별 필수적인 공통기술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현재까지 플랫폼 구축에 활용된 의료 데이터 수만해도 약 8억 건 이상으로, 헬스케어 사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필수로 사용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라이프레코드를 활용하면, 보다 체계적인 건강 관리, 생애주기별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로 의료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나아가, 4차산업기술을 바탕으로 국민건강 증진 및 의료환경 개선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의료 사각지대를 디지털헬스 플랫폼이 메우고, 환자가 자신의 의료데이터를 활용해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 바로 이것이 라이프시맨틱스가 이뤄내고자 하는 고도화된 의료 데이터 산업의 미래다.

핀테크 시장에서도 데이터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최초의 데이터 기반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시작한 핀테크 기업 뱅크샐러드는 금융을 핵심 서비스로 건강, 자동차 등 다방면으로 사업 영역을 키워 나가고 있다. 뱅크샐러드는 최근 마이데이터의 포괄적 이해와 비즈니스 방향을 담은 보고서 ‘마이데이터 맵과 비즈니스 확장성’을 발표했으며, 고객 데이터 기반의 편향되지 않은 솔루션을 통해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역량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마이데이터 맵은 개인의 생활 전반에 걸쳐 활용되는 모든 정보를 약 4천여 개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 체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개인이 조회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금융, 비금융, 공공 등 여러 산업에 걸친 마이데이터 명세를 확인 가능하며 데이터 부가가치의 확장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생성된 마이데이터는 실생활에서의 끊임없는 이동과 가공을 통해 개인에게 최적화된 초개인화 서비스로 재탄생하는 등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핀테크 기업 핀다는 향후 마이데이터를 통해 고객들의 대출 관리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현재 핀다에서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자 납기일 알림, 대환대출 가능성 진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가 마이데이터와 만나게 되면 이용자에게 더 정확한 추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핀다에서는 금융정보만 입력하면 나에게 가장 유리한 대출 조건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올해 핀다 앱 누적 설치 건수는 100만 건을 돌파했으며, 누적 대출 승인액은 400조원을 넘긴 상태다.

AI 기반 간편투자 서비스 핀트를 운영하는 디셈버앤컴퍼니도 마이데이터 본허가를 획득해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핀트는 인공지능이 개인의 투자 성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글로벌 ETF 포트폴리오 구성부터 리밸런싱, ETF 매매까지 투자의 전과정을 대신해 운영해준다. 국내 최초 비대면 투자 일임서비스를 넘어 일상 속에서 더욱 손쉽게 자산을 쌓아가는 경험을 제공하는 생활 밀착형 AI 투자 서비스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디셈버앤컴퍼니는 마이데이터 사업자 본허가를 획득하면서 고객 동의 절차를 거쳐 금융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을 얻게 됐다. 이를 통해 마이데이터와 연관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종합적인 금융 라이프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다채로운 사업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797,000 ▼93,000
비트코인캐시 659,500 ▼2,000
이더리움 3,439,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00 ▼90
리플 3,036 ▼5
퀀텀 2,655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51,000 ▼197,000
이더리움 3,439,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300 ▼90
메탈 915 ▼4
리스크 511 ▼2
리플 3,036 ▼6
에이다 783 ▼5
스팀 17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86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659,000 ▼4,000
이더리움 3,440,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2,290 ▼60
리플 3,036 ▼7
퀀텀 2,665 0
이오타 212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