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광명갑/문화체육관광위)이 언론중재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시정권고 현황 자료에 의하면 언론중재위원회가 2021년 1월부터 7월까지 상반기에 시정권고 한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7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해 유형별로는 ▲사생활 침해 245건 ▲피의자 및 피고인 신원 공개 100건 ▲성폭력 가해자 범행 수법 등 묘사 37건 ▲자살 관련 보도 156건 ▲충격, 혐오감 27건 ▲여론조사 보도 39건 ▲기사형 광고 107건 등이였다.
이 중 자살 관련 보도 시정 권고 건수가 41건에서 156건으로 280% 증가했으며, 피의자 및 피고인 신원 공개는 18건에서 100건으로 455%가 증가했다. 또한 기사형 광고는 11건에서 107건으로 무려 8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언론중재위원회는 특정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공무원이 사망한 사례를 기사화하는 과정에서 사망 이유를 단정적으로 보도하고 당시 출연한 방송 화면을 사용하는 등 자살자의 초상이나 신원을 공개한 보도에 대해 시정권고 결정을 내렸다.
한편 올해 언론중재위원회의 시정 권고를 수용하여 기사를 수정하거나 삭제한 수용률은 62.3%에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위원회는 시정권고가 법률상 권고적 효력을 가지는 데에 그치기 때문에 언론사에 시정권고 결정을 강제할 권한은 없다는 입장이다.
임오경 의원은 “OECD국 중 자살률 1위, 코로나 블루로 우울증 유병률이 높아진 상황에서 자살 관련 보도 또한 늘어나고 있는데 보도 시 신상을 공개하거나 상황을 묘사할 경우 모방 자살을 유발할 우려가 크다”고 우려했다. 이에 임 의원은 “언론사에 자율규제를 유도하고 있는 만큼 언론중재위원회에서는 심의뿐 아니라 시정권고 사후 모니터링 또한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임오경 의원 "언론중재위 시정 권고 지난해 대비 73.5% ↑"
기사입력:2021-10-18 22:47: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03.89 | ▲44.42 |
코스닥 | 781.20 | ▲2.74 |
코스피200 | 420.00 | ▲6.9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495,000 | ▲1,000 |
비트코인캐시 | 679,500 | ▲1,000 |
이더리움 | 3,47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40 | ▲10 |
리플 | 3,092 | ▼1 |
퀀텀 | 2,669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578,000 | ▲57,000 |
이더리움 | 3,477,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70 | ▲40 |
메탈 | 914 | ▲2 |
리스크 | 517 | ▲2 |
리플 | 3,095 | 0 |
에이다 | 789 | ▲3 |
스팀 | 18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7,610,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680,000 | ▲1,000 |
이더리움 | 3,478,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90 | ▲30 |
리플 | 3,095 | ▲3 |
퀀텀 | 2,665 | 0 |
이오타 | 21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