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전기화학발광 기반 웨어러블 압력감응 발광센서 개발

기사입력:2020-07-29 22:14:48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명재민 교수 연구팀이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luminescence) 물질을 기반으로 간단한 구조로 저전압에서 구동되는 착용가능한 압력감응 발광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압력감응 센서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추가적인 장치를 통해 시각화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즉각적으로 자극을 인식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순간적인 발광을 통해 외부자극을 즉시 시각화할 수 있는 다양한 압력감응 발광센서 및 대화형(interactive) 디스플레이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발광특성 확보를 위한 복잡한 구조와 고가의 재료사용 등으로 인해 센서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의 압력감응 발광센서는 높은 구동 전압이 필요 하기에 인체에 직접 부착하기에는 위험하다.

이에 연구팀은 기존의 압력감응 발광센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기화학발광 물질을 겔(gel)형으로 제작, 발광층으로 사용하였다.

산화환원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화학발광 물질을 활용하면 저전압에서 안정적인 발광이 가능하고, 특히 기존 유기발광 소자(OLED)와 다르게 전극만으로 발광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개발된 압력감응 발광센서는 외부 자극의 모양, 크기 및 위치를 즉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인체에 붙여 동작 감지 센서로 작동시킬 수 있었다고 전했다.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저전압에서 구동되는 착용가능한 압력감응 발광센서를 개발한 이번 연구성과는 인체나 로봇의 관절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 및 대화형 디스플레이 분야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7월 9일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35.44 ▼41.86
코스닥 831.99 ▼6.46
코스피200 358.70 ▼6.2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5,355,000 ▼585,000
비트코인캐시 650,000 ▼3,000
비트코인골드 46,110 ▼140
이더리움 5,232,000 ▼55,000
이더리움클래식 41,800 ▼250
리플 726 ▼1
이오스 1,131 ▼4
퀀텀 5,015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5,335,000 ▼587,000
이더리움 5,236,000 ▼50,000
이더리움클래식 41,830 ▼260
메탈 2,642 ▼13
리스크 2,165 ▼14
리플 726 ▼2
에이다 627 ▼1
스팀 406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95,297,000 ▼640,000
비트코인캐시 652,500 0
비트코인골드 47,130 0
이더리움 5,232,000 ▼51,000
이더리움클래식 41,810 ▼200
리플 725 ▼3
퀀텀 5,015 0
이오타 31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