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중앙아시아 대내·외 경제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한-중앙아시아 경제협력에서 우리는 제조업 뿐 아니라 디지털 환경 구축, 인프라 개발협력 등을 염두에 둬야 한다”
KOTRA가 ‘중앙아시아 주요국 경제현황과 협력환경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자료에서는 중앙아시아 대내외 경제환경을 분석하고 경제협력 전략을 제시했다.
KOTRA에 따르면 중앙아시아는 고속성장 시기를 지나 성장 안정세로 접어들면서 제조업과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IT 중심 혁신산업과 스마트시티 분야에 재원을 많이 투자하고 있다.
러시아는 중앙아시아에서 영향력이 강하다. 과거 노동이주, 송금 등을 넘어 최근에는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그레이터유라시아파트너십(Greater Eurasian Partnership)’을 통해 협력 확대·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일대일로 구상으로 중앙아시아를 관통하는 교통로 구축에 공들이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등 캅카스 국가와 터키도 ‘바쿠-트빌리시-카르스(BTK) 철도’를 개설하는 등 중앙아시아 시장 접근성 개선에 본격 나섰다고 알려졌다.
한-중앙아시아 경제협력은 기존 제조업 분야는 물론이고 ▲디지털 인프라 ▲유라시아 물류 인프라 쪽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디지털 인프라는 디지털장비·블록체인·보안기술 분야에서 협력하고, 물류 인프라는 ‘트랜스 카스피해 운송로 연합’에 가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러시아 기관, 기업과의 협업도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김상묵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중앙아시아는 대내외적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경제협력을 확대하려면 현지사정 변화를 면밀하게 따라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KOTRA, '중앙아시아 주요국 경제현황과 협력환경 분석' 발간
기사입력:2019-12-19 09:37:5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3.80 | ▲14.01 |
코스닥 | 722.81 | ▲0.95 |
코스피200 | 341.31 | ▲2.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802,000 | ▼306,000 |
비트코인캐시 | 509,000 | ▲500 |
이더리움 | 2,560,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50 | ▼40 |
리플 | 3,005 | ▼14 |
이오스 | 1,118 | ▼9 |
퀀텀 | 2,926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920,000 | ▼207,000 |
이더리움 | 2,563,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680 | ▲80 |
메탈 | 1,106 | ▲3 |
리스크 | 670 | ▲1 |
리플 | 3,008 | ▼15 |
에이다 | 942 | ▼1 |
스팀 | 19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78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508,000 | ▲1,500 |
이더리움 | 2,558,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00 | ▼10 |
리플 | 3,009 | ▼8 |
퀀텀 | 2,924 | 0 |
이오타 | 291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