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에 익숙한 MZ세대를 잡아라… 웹드라마 마케팅 인기

기사입력:2019-07-26 09:05:52
[로이슈 편도욱 기자] 최근 콘텐츠 소비가 활발해지면서 물질적 풍요에 익숙한 디지털 세대를 일컫는 신조어 MZ세대(1980~2004년생 밀레니얼 세대와 1995~2004년생 Z세대를 통틀어 부르는)까지 등장했다. 이들은 TV보다는 유튜브 이용이 자연스러우며, 공강시간이나 이동하는 중간에 볼 수 있는 짧은 영상 콘텐츠에 익숙해져 60분짜리 드라마보다는 10분 내외의 웹드라마를 선호한다. 또한 ‘가취관(가벼운 취향 위주의 관계)’을 선호하다보니 잘 짜여진 긴 호흡의 드라마보다는 B급 감성의 콘텐츠에 더욱 열광한다.

MZ세대는 단순히 영상 콘텐츠를 감상하는 것을 넘어 영상 내 등장하는 제품을 직간접적으로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유통업계가 해당 콘텐츠를 마케팅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실제 한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들은 유튜브 1인 방송보다 웹드라마를 선호하고 있으며, 등장인물의 스타일이나 사용 제품을 구매 선호 1순위로 꼽았다.

이런 가운데 뷰티, 패션, 식품 등 다양한 기업들이 웹드라마 제작 지원, PPL,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등 웹드라마 마케팅을 펼치며 MZ세대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야민정음’, ‘스라밸’ 등 자신들만의 신조어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들을 공략하기 위해 콘텐츠에도 이러한 신조어와 B급 감성을 활용하고 있다.

웹드라마는 TV 드라마에 비해 규제가 적어 브랜드 노출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극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반감이 적은 편이다.

엘리트 학생복은 역대 웹드라마 최고 조회 수를 기록한 ‘에이틴 1’과 ‘에이틴 2’에 교복을 협찬하고 신학기 교복 스타일을 선보였다. 기존 화보 중심의 스타 마케팅에서 스토리 있는 영상 콘텐츠로 전환하며 타겟층인 10대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파리바게뜨는 웹드라마 ‘연애플레이리스트’ 시즌4를 제작 지원했다. 극중 이야기 전개에 가장 중요한 매개물 중 하나인 ‘썸빙수’라는 별칭으로 제품이 등장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에이틴의 출연자와 연플리의 출연자가 여자친구에게 썸빙수를 사가는 내용이 방영되면서 SNS에서 해당 장면이 화제를 모았다.

‘스낵컬처’를 기반으로 광고 콘텐츠 제작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장점을 구구절절 늘어놓는 것에서 벗어나 광고 자체를 주제로 재미와 유머가 가미된 ‘브랜디드 콘텐츠’도 인기를 얻고 있으며 ‘광고라도 재미있으면 찾아서 본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에코 더샘이 CJ ENM 다다스튜디오와 함께 제작한 더마 플랜, 더마 웨어 영상 3편은 20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민감 피부에 대한 주인공의 고민이 공감대를 형성함은 물론 각종 패러디가 더해져 재미있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후속 영상인 ‘민감지성러들은 주목! 더샘 더마 플랜 그린 트러블 패드&트러블 스팟 앰플’ 영상 역시 마지막 반전 구성과 함께 광고임을 직접적으로 드러냈음에도 ‘주인공들의 케미가 너무 좋다, 홀린 듯 끝까지 보게 된다, 웃겨서 다시 보러 왔다’ 등 댓글 내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퍼시스그룹 시디즈의 ‘함께 크는 가족’은 유튜브 단일 영상 조회수 366만회를 기록했다. 실제 사연을 바탕으로 제작된 웹드라마 형식의 콘텐츠로 제작됐다. 동생에게 양보하는 것이 익숙해 본인이 원하는 것은 잘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와 그런 아이의 성향이 자신의 서툰 교육법으로 인해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되는 부모의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 대중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소비자를 위한 홍보뿐 아니라 직원들을 위한 교육 매뉴얼도 딱딱한 책 형태를 벗어나 누구나 모바일로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웹 드라마 형식을 활용한 콘텐츠로 제작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lawissue) 기자 toy1000@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797,000 ▼234,000
비트코인캐시 586,500 ▼3,000
이더리움 3,342,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7,250 ▼140
리플 3,329 ▼20
이오스 1,364 ▲10
퀀텀 3,519 ▼3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34,000 ▼214,000
이더리움 3,339,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7,220 ▼170
메탈 1,261 ▼23
리스크 774 ▼12
리플 3,325 ▼21
에이다 1,110 ▼10
스팀 21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87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587,500 ▼1,500
이더리움 3,341,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7,200 ▼280
리플 3,326 ▼24
퀀텀 3,538 ▼32
이오타 34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