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중ㆍ노년기에 우울증을 앓으면 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이 두 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2년간 낙상 경험률은 3.4%였다.
1일 KOFRUM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45세 이상 중ㆍ노년 1만180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유병률ㆍ낙상 경험률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의 45세 이상 성인에서 우울과 낙상의 연관성)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중ㆍ노년기에도 우울증은 여성에게 더 잦은 병이었다. 여성의 우울증 유병률(23.5%)이 남성(14.0%)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중ㆍ노년의 최근 2년간 낙상 경험은 3.4%(1만180명 중 410명)였다. 우울증을 가진 사람의 낙상 경험률(7.39%)이 우울증이 없는 사람(2.52%)보다 세 배가량 높았다. 병원 치료가 필요한 낙상을 당한 사람은 전체의 2.5%였다. 우울증이 있는 사람의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심한 낙상 경험률은 5.4%로, 우울증이 없는 사람(1.8%)의 세 배였다.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1.3%가 골반부 골절이 동반된 낙상을 경험했다. 우울증이 없는 사람이 낙상으로 인해 골반부 골절을 당하는 비율(0.9%)보다 훨씬 높았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낙상과 관련된 여러 요인을 고려한 결과) 우울증이 있는 중ㆍ노년은 낙상을 경험할 위험이 1.7배, 치료가 필요한 낙상을 겪을 위험이 1.6배, 골반부 골절을 동반하는 낙상을 할 위험이 2.1배 높았다(우울증이 없는 중ㆍ노년 대비)”고 지적했다.
한편 낙상은 노인에서 흔히 발생하며 심하면 사망으로 이어진다. 국내 조사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의 21%가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했다. 이 중 낙상으로 인해 병원치료를 받은 비율은 72.4%, 낙상으로 인한 후유증은 47.4%였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 조사).
낙상의 위험 요인으론 연령ㆍ성별 외에 신체 기능 저하ㆍ인지 기능 감소ㆍ약물 복용ㆍ음주 등이다. 복잡한 실내 구조ㆍ미끄러운 바닥ㆍ충분치 않은 조명 등 환경적 요인, 저소득ㆍ저학력 등 사회ㆍ경제적 요인도 낙상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졌다. 우울은 노인에서 흔한 건강 문제다. 우울 증상을 겪는 노인의 80%가 치료를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우울은 신체 기능ㆍ인지 기능을 모두 감소시키고 이는 낙상의 위험 요인”이며 “삼환계 항우울제ㆍ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 우울증 치료약의 사용이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우울증 있으면 낙상으로 인한 골절 위험 두 배 증가
기사입력:2018-11-01 15:41:4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73.24 | ▲119.48 |
| 코스닥 | 888.35 | ▲11.54 |
| 코스피200 | 575.31 | ▲17.33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804,000 | ▲384,000 |
| 비트코인캐시 | 757,000 | ▲6,000 |
| 이더리움 | 5,354,000 | ▲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190 |
| 리플 | 3,673 | ▲3 |
| 퀀텀 | 2,910 | ▼2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750,000 | ▲320,000 |
| 이더리움 | 5,350,000 | ▼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160 |
| 메탈 | 693 | ▼1 |
| 리스크 | 307 | ▲1 |
| 리플 | 3,672 | 0 |
| 에이다 | 873 | ▲2 |
| 스팀 | 126 | ▼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7,720,000 | ▲240,000 |
| 비트코인캐시 | 757,000 | ▲7,500 |
| 이더리움 | 5,355,000 | 0 |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130 |
| 리플 | 3,672 | ▲2 |
| 퀀텀 | 2,882 | 0 |
| 이오타 | 215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