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임한희 기자] 맥도날드는 글로벌 차원의 사회적 캠페인인 ‘스케일 포 굿(Scale for Good)’의 한국 실행 계획을 담은 인포그래픽을 발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스케일 포 굿 캠페인은 전 세계 120개 나라에서 37,000여개의 레스토랑을 운영하며 매일 6,900만명의 고객이 찾는 맥도날드가 책임 있는 글로벌 기업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사회, 환경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시작한 글로벌 캠페인이다.
한국맥도날드 역시 ‘온실가스 감축’, ‘친환경 포장재 사용 및 재활용’, ‘지속 가능한 원재료 공급’, ‘가족 고객을 위한 기여’, ‘청년 고용’ 등 5가지 주요 과제를 설정하고 각 과제별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 같은 내용을 고객들에게 보다 쉽고 투명하게 알리기 위해 인포그래픽을 제작해 발행했다.
먼저 한국맥도날드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국 레스토랑에 친환경 고효율 LED 조명을 설치하고 부산 및 제주 지역에 태양광 레스토랑 5개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 배달 주문 서비스인 맥딜리버리에 친환경 전기 바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난 폐식용유를 친환경 바이오디젤 원료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맥도날드는 무분별한 자원 소비를 막고 지속 가능한 자연상태 관리에 기여하기 위해 내년부터 50여종의 포장재를 ‘국제산림관리협의회(FSC)’ 인증을 받은 친환경 포장재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모든 포장재에 사용되는 잉크를 천연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잉크로 교체할 계획도 세웠다.
이와 함께 한국맥도날드는 지난 1월부터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항생제로 사육한 닭고기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업계 최초로 도입해 시행 중이며, 지난 8월부터 맥카페 커피의 원두를 100% 열대우림동맹(RFA) 인증 친환경 커피 원두로 교체했다. 2025년까지 공급 받는 계란을 동물복지란으로 교체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또한 글로벌 맥도날드는 2022년까지 해피밀 메뉴를 더욱 건강하게 업그레이드 하고, 해피밀 구매 고객에게 책을 제공하는 ‘해피 리더스(Happy Readers)’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한국맥도날드 역시 내년 하반기에 해피밀 등 가족 고객을 위한 메뉴를 보다 건강하게 구성하고, ‘해피 리더스 프로그램’도 도입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맥도날드는 사회 초년생 직원들의 커리어 개발을 위해 고용노동부의 ‘일학습병행’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직원들에게 외식산업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전문 교육을 제공하고 나아가 대학 교육 및 학사 학위 취득도 지원하고 있다.
한국맥도날드 조주연 사장은 “지난 1988년 한국에 첫 레스토랑을 오픈한 이래 고객들의 변함 없는 사랑과 성원 덕분에 창립 30주년이라는 뜻 깊은 시간을 맞이할 수 있었다”면서 “이 같은 고객 성원에 보답하고자 사회책임 캠페인인 ‘스케일 포 굿’ 캠페인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체계적인 실행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보다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의미 있는 기여를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맥도날드는 공식 웹사이트 및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등에도 스케일 포 굿 인포그래픽을 게재하여 모든 고객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임한희 기자 newyork291@lawissue.co.kr
맥도날드, 사회적 책임 캠페인 ‘스케일 포 굿’ 인포그래픽 발행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맥도날드의 ‘스케일 포 굿(Scale for Good)’ 기사입력:2018-09-27 16:08:2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050,000 | ▼141,000 |
비트코인캐시 | 513,500 | ▼2,000 |
이더리움 | 2,627,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60 | ▲50 |
리플 | 3,142 | ▲6 |
이오스 | 1,013 | ▼5 |
퀀텀 | 3,016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102,000 | ▼120,000 |
이더리움 | 2,629,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10 | ▼20 |
메탈 | 1,162 | ▲5 |
리스크 | 738 | ▼2 |
리플 | 3,143 | ▲6 |
에이다 | 993 | ▲1 |
스팀 | 20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020,000 | ▼80,000 |
비트코인캐시 | 513,500 | ▼1,500 |
이더리움 | 2,627,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420 | ▲40 |
리플 | 3,142 | ▲7 |
퀀텀 | 2,998 | 0 |
이오타 | 293 | 0 |